1437년(세종 19) 4월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나, 그 이전에 이미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작자는 분명하지 않은데, 다만 1432년에 세종이 예문관 제학 정인지(鄭麟趾)에게 대제학 정초(鄭招)와 함께 천문의기(天文儀器)를 만들도록 명한 사실로 보아 정인지와 정초, 이천(李蕆) 등이 제작과정을 전담했을 것으로 보인다.
세종 때 만들어진 해시계로는 현주일구 외에도 앙부일구(仰釜日晷) · 천평일구(天平日晷) · 정남일구(定南日晷) 등이 있었다. 그러나 세종 때 만들어진 것은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이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앙부일구만이 지금까지 남아 있으나, 현주일구와 천평일구는 전혀 전해지는 바가 없어 그 모양을 정확히 알 수 없다. 더욱이 현주일구는 중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세종 때 유일하게 만들어진 창작품인데, 다행히 그 모양이 기록으로는 남아 있어서 대략이나마 그 구조를 짐작할 수 있다.
현주일구는 사각형의 휴대용 해시계로 크기가 6촌 3푼밖에 되지 않는다. 평평한 바닥 북쪽에 기둥을 세우고 남쪽에는 못〔池〕을 팠으며, 북쪽에는 십자(十字) 표지를, 그리고 기둥 머리에 추를 달아서 아래쪽 십자와 서로 닿게 하여 시계가 수평임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시반(時盤) 중심 한가운데에 지름이 3촌 2푼인 작은 원을 그려 100각(刻)을 표시해 두었다. 100각을 그린 것은 당시의 시제(時制)가 1일(日)은 100각이라는 데에 따른 것이다. 100각이 그려진 원〔小輪〕의 한가운데에 구멍이 있어 한 가닥 가는 실을 꿰어서 위는 기둥 끝에 매고 아래는 밑바탕 남쪽에 매어 실 그림자가 있는 것을 보고 시각을 알 수 있게 하였다. 흐린 날에는 시각을 알기 어려우므로 행루(行漏)를 만들었는데, 행루는 파수호(播水壺)와 수수호(受水壺) 각각 하나씩이 있었다.
현주일구란 명칭이 붙은 것은 수평을 잡기 위해 매달아 둔 추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현주일구는 대단히 휴대하기 간편한 시계라고 하겠다. 자오(子午)를 정확히 하기 위해 지남침과 함께 사용했으리라는 추측도 있다. 세종 때 여러 개의 현주일구를 만들어 양계에 나누어 주고 남는 것은 서운관(書雲觀)에 보관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