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

목차
관련 정보
호미
호미
산업
물품
논이나 밭을 매는 데 쓰이는 연장.
이칭
이칭
호맹이, 호메이, 호무, 홈미, 호마니, 허메, 허미, 희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논이나 밭을 매는 데 쓰이는 연장.
내용

지역에 따라 호맹이 · 호메이 · 호무 · 홈미 · 호마니 · 허메 · 허미 · 희미 등 여러 가지로 불린다. 쇠날의 앞은 뾰족하고 위는 넓적한데, 이 한 끝에서 목이 휘어 꼬부라져서 넘어간 부분에 둥근 나무토막을 박아 자루로 삼는다.

호미의 모양은 그것이 사용되는 지역의 자연적인 조건과 농업경영의 특질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호미는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① 보습형: 쟁기보습처럼 날끝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다. 날 끝을 흙에 박아 젖히면 흙이 쉽게 뒤집어져서 논호미라고 부른다. 자루에 흙이 묻으면 매우 미끄러우므로, 나무자루 대신 짚을 감거나 나무자루에 베헝겊을 둘러서 쓰는 일도 있다. 경기도 · 충청도를 비롯한 중부지방과 전북특별자치도의 일부 지역에서 많이 쓴다.

② 낫형: 처럼 날의 길이가 너비에 비해 길다. 날 끝이 날카로워 자갈 등의 저항물이 많은 데에서 쓰기 편리하다. 밭에서 많이 사용하므로 밭호미라고 부른다 경상남도 · 제주도 · 전라남도 도서지방 및 산간지대에서 많이 쓴다.

③ 세모형: 형태는 장삼각형(長三角形)으로서 양변에 비해 바닥의 길이가 길다. 한국에서 쓰이는 호미 중에서 날은 물론 자루도 제일 길며, 따라서 보리 · 옥수수 · 밀과 같이 이랑이 넓은 밭의 풀을 매는 데 편리하다. 흙을 떠 엎는 힘이 약해 논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 호미는 자루가 길어 서서 작업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호미는 북부지방에서 많이 쓰인다.

보습형 호미(무게 400g 내외)로는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300여 평의 논을 맬 수 있으며, 날은 해마다 벼려서 쓴다. 논농사에 있어 논을 매는 일은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이므로 이를 보통 품앗이로 한다. 작업이 끝난 뒤에는 ‘호미씻이’라 하여 농사일의 한 고비가 지난 것을 자축하기 위해 음식을 장만해 농악을 울리며 하루를 쉰다. 부분 명칭의 지역적인 차이는 〈표〉와 같다.

지역 경기 반월 경기 덕적 경남 영산 전남 거문도
표준말
이파리
슴베 숨베 심베 수무 수메
자루 자루 자락 호망자리 자리
〈표〉 호미의 지역별 부분 명칭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韓國農器具攷)』(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관련 미디어 (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