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사기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의첨이 『화엄경』을 해석하여 1689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려 의첨이 『화엄경』을 해석하여 1689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권 1책. 필사본. 이 책은 저자가 불교 강원(講院)에서 공부하는 학승(學僧)들의 공부를 돕기 위하여 『화엄경』의 요점을 간추려서 해설한 것이다. 저자는 『화엄경』을 강설할 때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80권본과 징관(澄觀, 淸凉國師)이 지은 소초(疏鈔)를 교재로 사용하였다.

이 가운데 징관의 소초본은 1689년(숙종 15) 전라남도 순천시 징광사(澄光寺)에서 성총(性聰)의 주관으로 조판하였으나 80년 만에 불에 타 없어졌으므로, 1775년(영조 51) 함안 영각사(靈覺寺)에서 상언(尙彦)의 주선으로 다시 판각할 때 이 책에 의하여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았다고 한다.

즉, 이 책은 징관의 소초 중에서, ① 해석상에 의견을 달리하거나 오류가 있다고 인정되는 부분에는 자기의 소견을 기술하여 올바른 해석을 시도하였고, ② 오자·탈자·연자(衍字)·도자(倒字) 등을 일일이 찾아내어 바로잡았으며, ③ 『화엄경』의 근본대의를 문자나 이론적인 설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융무애(圓融無碍)의 차원에서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은 발간 초기에 영남지방의 용연사(龍淵寺)·유가사(瑜伽寺)·동화사(桐華寺) 등과 계룡산의 사찰을 중심으로 유포되었으나, 조선 말기에 들어와서는 전국적으로 확산 유통되어 약 200여년 동안 『화엄경』을 연구하는 승려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인악집(仁岳集)』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