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선(東文選)』에 의하면 909년 6월 26일 이후 에 팔각등루(八角燈樓)를 지었고 11월 4일 이곳에서 처음 법회를 열었다고 하므로,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新羅壽昌郡護國城八角燈樓記)」는 이 사이에 쓰였을 개연성이 있다. 894년(진성왕 8년) 시무(時務) 10여 조( 시무십여조)를 올린 뒤 신라의 국운이 기울자 최치원은 관직을 그만두고 방랑하다가 해인사(海印寺)에 들어가 은거했다. 이 사이에 중알찬(重閼粲) 이재(異才) 등 수창군 호족(豪族)의 청에 응해 지었다. 이후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는 수창군(壽昌郡: 대구)의 호국성(護國城) 팔각등루(八角燈樓)에 계속 걸려 있었다고 한다.
서두에서는 908년(천우 5) 10월 이재가 국가의 경사를 빌고 전쟁의 화를 물리치기 위해 남령(南嶺)(대구분지 남쪽의 대덕산성)에 팔각등루를 세웠다고 밝혔다. 이 누가 위치한 성의 서쪽 · 동남방모퉁이 · 동쪽에는 못이 있고 남쪽에는 산이 있어 환경이 훌륭하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나서 이 누(樓)를 세운 중알찬은 국가를 해치는 자들을 숙청하던 몸으로서 이곳을 택해 보(堡)를 쌓고 도성(都城)의 서쪽을 지켰으며 그를 찾아오는 사람들을 수없이 받아들였다고 한다. 동시에 불교에 뜻을 두고 수양했으니, 그는 집에 있는 대사(大士: 불 · 보살의 통칭)인 동시에 위대한 나라를 받드는 충신이라 했다. 그의 부인도 네 가지 덕을 충분히 갖추고 날마다 불경(佛經)을 읽었다고 한다.
용년(龍年: 기사년, 즉 909년), 양월(洋月: 미월 未月), 경신일(庚申日) 밤의 꿈에 이 성 남쪽에 있는 불산(佛山) 위에 7기의 미륵상(彌勒像)이 북쪽을 향해 섰고, 며칠 뒤의 꿈에서는 성 동편의 장산(獐山)에서 나한승(羅漢僧)이 털옷을 입고 구름 위에 앉았는데 이처도(伊處道: 목숨을 희생하여 불법(佛法)에 순교한 열사)가 이곳을 경유해 군사를 거느리고 올 때라 말했다고 한다. 꿈에서 깨어난 그는 난세(亂世)를 맞이해 임금의 은혜에 보답하고 미혹한 무리를 깨우치게 하려면 법등(法燈)을 높이 달아 병화를 없애야 한다고 여기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성의 경치 좋은 곳에 팔각등루를 세워 등불을 밝히고 외적으로부터 이 철옹성을 지켰다고 한다.
같은 해 11월 4일에 공산(公山: 팔공산), 동사(桐寺: 동화사)의 홍순 대덕(弘順大德)을 맞이해 좌주(座主)로 삼고 법회를 장엄하게 열었다. 그리하여 이곳을 호국성(護國城)이라 칭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