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자 및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수록된 시조의 ‘거룩다 우리 회원(會員) 기영회(耆英會)를 비길네라/이삼(二三) 백발옹(白髮翁)은 남극수성(南極壽星) 안이신가’라는 구절로 보아, 20세기 초 소규모의 가곡 동호인 모임에서 사용되었던 가집으로 추정된다.
1책. 필사본. 총 11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 크기는 가로 20.5㎝, 세로 32.6㎝이고, 필체는 서투르고 잘 쓰지 못한 글씨[拙筆]이지만, 한 글자 한 글자 투박하게 정서(正書)하였다. 전북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수록 작품은 흔히 단가로 불리던 「소상팔경」, 가곡 93수(남창 46수, 여창 47수), 가창가사 「상사별곡」 · 「춘면곡」 · 「죽지사」 · 「황계타령」 · 「길군악」, 「태평가」 1수, 시조 68수이다.
이러한 편집체제는 가곡 · 가사 · 시조가 당대 가창문화권에서 상호 경쟁하던 현상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지만, 「소상팔경」과 가곡 사이에 평 · 우 · 계 삼조(三調)나, 풍도형용(風度形容), 매화점장단, 장고장단, 8음도(연음표) 등 가곡가집에 흔히 수록되는 가곡 이론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가사 이하 시조창 사설 68수는 필체가 달라, 이 가집의 원래의 편집 목적이 남 · 여창 가곡 한바탕의 기록에 놓여 있다고 보게 된다.
이 가집은 가곡 한바탕, 가사(歌詞), 시조가 함께 수록되는 20세기 초 가집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가곡원류』계 가집까지 줄기차게 기록되던 ‘중대엽’ 곡목이 제외되었고, 사설마다 8음도(연음표)를 표시하였으며, 악곡당 수록 작품 수가 1~5수(首)로 발췌하거나 초록하였다.
또한 이전 시기 가집의 사설목록집으로서의 성격과 달리, 성악보집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보여주는 20세기 초 소규모 가곡동호인 모임의 연창용(演唱用) 가보(歌譜)로 여겨진다. 이 시기의 가집은 현재도 자료의 발굴과 보고가 진행되고 있어, 이 가집은 앞으로 20세기의 전환기적 가곡 및 시조의 성격을 탐색하는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