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교차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개념
기상요소의 1년 중 월평균의 최고(최대)값과 최저(최소)값의 차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기상요소의 1년 중 월평균의 최고(최대)값과 최저(최소)값의 차이.
개설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를 기온의 연교차라고 하며, 이는 기후 특성이 대륙성인지, 해양성인지를 파악하는 데 하나의 지표가 된다. 일반적으로 연교차는 기온의 연교차를 의미한다.

내용

연중 가장 더운 달을 최난월이라고 하고 그 달의 평균기온을 최난월 평균기온이라고 한다. 반면 가장 추운 달을 최한월이라고 하고 그 달의 평균기온을 최한월 평균기온이라고 한다. 연교차는 최난월 평균기온과 최한월 평균기온의 차이를 말한다.

북반구의 경우 최난월은 7월 혹은 8월로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최한월은 대부분 1월에 나타나며 간혹 2월인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대륙성기후의 성격이 강한 지역에서는 최난월이 7월에 나타나고, 최한월은 1월에 출현한다. 반면 북반구의 해양성기후가 강한 지역에서는 그보다 약간 지연되어 각각 8월과 2월에 나타나기도 한다. 극야가 나타나는 북극지방에서는 최한월이 3월에 출현하기도 한다.

연교차는 일반적으로 저위도에서 고위도로 갈수록 크다. 같은 위도의 지역에서는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연교차가 커진다. 즉 고위도 내륙에서 연교차가 가장 크고 저위도 해안에서 연교차가 가장 작다. 북위 67.4°의 시베리아평원에 위치하는 베르호얀스크(Verkhoyansk)의 연교차는 62.5℃인 데 반하여 적도 부근의 태평양상에 위치하는 타라와(Tarawa)의 연교차는 0.5℃에 불과하다. 북반구는 남반구에 비하여 육지 면적이 넓기 때문에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현황

한반도의 경우 최난월은 북부지방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8월에 나타나며 최한월은 모두 1월이다. 개마고원이나 그곳에 가까운 삼지연, 중강진, 혜산진, 강계, 풍산, 수풍, 장진, 희천 등지에서는 7월 평균기온이 8월 평균기온보다 높다. 한반도에서 최한월보다 최난월 출현시기가 더 지연되는 것은 6월 하순경에 시작되어 7월 하순경에 끝나는 장마의 영향으로 7월의 일사량이 적기 때문이다. 또한 겨울철에는 대륙의 영향이 강한 데 반하여 여름철에는 해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도 그 이유이다.

참고문헌

『기후학』(이승호, 푸른길, 2007)
『한국의 기후』(기상청 기상연구소, 두솔, 2004)
『기상학사전』』(김광식, 향문사,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