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비 부여씨 묘지명 (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유물
백제 의자왕의 증손녀인 부여씨(扶餘氏, 690∼738)의 생애를 기록한 묘지명.
이칭
이칭
당고괵왕비부여지명(唐故虢王妃扶餘誌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태비 부여씨 묘지명은 백제 의자왕의 증손녀인 부여씨(扶餘氏, 690∼738)의 생애를 기록한 묘지명이다. 백제 멸망 후 당으로 끌려간 의자왕과 그 후손들의 행적을 살필 수 있는 금석문이다. 묘비명에 의하면 태비 부여씨는 의자왕의 손자인 부여덕장(扶餘德璋)의 장녀로 태어났다. 당의 황족인 사괵왕 이옹의 두 번째 부인이 되어 사괵왕비(嗣?王妃)로 책봉되었다가 그의 아들 이거가 사괵왕이 되자 태비(太妃)로 책봉되었다. 태자 부여융의 자손들의 가계를 복원하고 실제 당에서 어떤 대우를 받으며 살았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정의
백제 의자왕의 증손녀인 부여씨(扶餘氏, 690∼738)의 생애를 기록한 묘지명.
개설

태비 부여씨 묘지명(太妃扶餘氏墓誌銘)은 2004년 봄 중국 섬서성 고고연구원에서 실시한 당(唐)고조(高祖) 이연(李淵)의 무덤인 헌릉(獻陵)의 딸린무덤[陪塚]을 발굴하다가 발견되었다. 묘지명이 출토된 곳은 섬서성 부평현 두촌진 여촌향이다. 무덤 양식은 태비 부여씨와 그의 남편인 당 사괵왕(嗣虢王) 이옹(李邕)의 어울무덤[合葬墓]이다. 무덤은 도굴의 피해를 입었으나, 이옹과 태비 부여씨 묘지명은 그대로 남아 있었다. 다만 태비 부여씨 묘지명은 여러 조각으로 파손된 상태였다.

묘지명은 청석(靑石)으로 만들어졌고, 뚜껑돌[蓋石]과 지석(誌石)이 모두 남아 있다. 뚜껑돌의 크기는 가로 74㎝, 세로 70㎝, 두께 13㎝이고, 지석의 크기는 가로 74㎝, 세로 70㎝, 두께 9㎝이다. 뚜껑돌의 윗면에는 가로 48㎝, 세로 42㎝의 평면을 마련하고, 고박(古朴)한 풍격의 전서(篆書)로 행당 3자씩 3행에 걸쳐「당고괵왕비부여지명(唐故虢王妃扶餘誌銘)」이라고 9자를 새겨 넣어 묘지명의 주인을 밝혔다. 지석은 모두 30행에 걸쳐 해서(楷書)로 1행당 31자, 총 831자를 새겨넣었다.

묘지명의 글을 지은 사람은 양섭(梁涉)이다. 글씨를 쓴 사람은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위척(韋陟)으로 추정된다. 묘지명이 만들어진 때는 당 현종 개원 26년에 해당하는 738년 11월 15일이다.

내용

태비 부여씨는 690년 백제 의자왕의 손자인 부여덕장(扶餘德璋)의 장녀로 태어났다. 711년에 당의 황족인 사괵왕 이옹의 두 번째 부인이 되었고, 718년에 사괵왕비(嗣虢王妃)로 책봉되었다. 731년에는 아들 이거(李巨)가 이옹의 뒤를 이어 사괵왕이 되자 태비(太妃)로 책봉되었다. 태비 부여씨는 이옹과의 사이에서 이거, 이승소(李承昭), 이승희(李承曦), 이승준(李承晙), 이승질(李承晊) 등 다섯 아들을 두었다.

738년 8월 9일에 장안(長安) 숭현방의 사저에서 4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고, 그 해 11월 15일 이옹의 묘에 합장되었다. 부여씨의 일생은 묘지명에서 보여주듯이 백제의 왕족이자 이성제왕(異姓諸王)의 딸로서 숙녀(淑女)의 삶을 살았고, 사괵왕비 · 태비로서 영화로운 삶을 영위하였다.

태비 부여씨 묘지명의 기록을 통해 백제 마지막 왕인 의자왕 후손들의 가계를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부여씨를 기준으로 의자왕이 증조부, 부여융(扶餘隆)이 조부, 부여덕장이 아버지가 된다. 지금까지는 의자왕의 아들로 당에 끌려간 태자 부여융, 왕자 부여태(扶餘泰) · 부여효(扶餘孝) · 부여연(扶餘演) 등과 부여융의 아들인 부여문사(扶餘文思)와 부여융의 증손인 부여경(扶餘敬) 등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묘지명을 통해서 부여융의 아들로 부여덕장이 있었다는 사실이 새로 밝혀졌고, 추가로 부여문선(扶餘文宣)이 있었음이『구당서(舊唐書)』의 기록과 대조함으로써 드러났다. 그리하여 부여융의 아들로 부여문사 · 부여문선 · 부여덕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묘지명에 의하면 부여덕장에게는 태비 부여씨와 혹리(酷吏) 길온(吉溫)의 어머니가 되는 딸이 있었다. 또한 부여융의 뒤를 이어 대방군왕(帶方郡王)으로 책봉된 부여경이 부여문사의 아들이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의의와 평가

태비 부여씨 묘지명은 백제 멸망 후 당으로 끌려간 의자왕과 그 후손들의 행적을 살필 수 있는 금석문이다. 또한 문헌 기록에 자세히 기록되지 않은 태자 부여융의 자손들의 가계를 복원하고, 실제 당에서 어떤 대우를 받으며 살았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백제유민사 연구 및 당의 복속민 정책의 일면을 살필 수 있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참고문헌

『중국 출토 백제인 묘지집성』 원문・역주편(충남역사문화연구원 편, 2016)
『한국고대 문자자료연구』 백제(하) -주제별-(권인한 외, 주류성, 2015)
「부여씨 부인 묘지」(권덕영, 『중국소재 한국 고대 금석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백제 의자왕 외손 李濟 묘지명에 대한 연구」(김영관, 『백제문화』 49, 2013)
「백제 의자왕 증손녀 태비 부여씨 묘지」(김영관,『백제학보』창간호, 2009)
『舊唐書』
「唐《故虢王妃扶余氏墓志》考」(張蘊·汪幼軍,『碑林集刊』13, 陝西人民美術出版社, 2008)
「《唐嗣虢王李邕墓志》考」(張蘊,『唐硏究』12, 北京大學出版社,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