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킨 이후 전시체제가 강화되면서 침략전쟁과 식민정책에 협조적인 내용을 담은 노래들이 만들어졌다. 1937년 말에서 1938년 초에 걸치는 첫 번째 시기에 몇몇 곡이 발표되었고,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인 1942년부터 1943년까지 두 번째 시기에 많은 작품이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주로 전시체제와 관련된 작품이 많으므로 군국(軍國)가요라 칭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이미 1930년대 중반부터 군국가요가 많이 발표되기 시작했으나, 식민지 조선의 친일가요 또는 군국가요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비로소 등장했다. 처음에는 대중가요계가 아닌 문단이나 악단의 명사들이 참여한 조선문예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이어 그 결과물이 대중가요 형태로 제작되었다.
1938년 초까지 몇몇 친일가요 음반이 발표되었으나, 이후 1941년까지는 별다른 작품이 확인되지 않는 공백기가 보이기도 한다. 이는 당시 친일가요에 대한 대중의 호응이 크지 않아 음반 판매가 예상보다 크게 부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몇 년 동안 예외적인 몇 곡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제작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던 친일가요는 1941년 12월에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직후부터 다시 발표되었고, 1942∼1943년에는 전체 대중가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었다.
친일가요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가 예전과 달리 좋아진 것은 아니었으나, 한층 강화된 전시체제와 조선연예협회, 조선연극문화협회 같은 어용문화단체의 통제와 압력에 따라 대중가요계가 친일가요 생산에 나서지 않을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1944년 이후로는 음반 제작 자체가 중단될 정도로 전시 통제가 심해졌으므로 친일가요도 더 이상 등장하지 않았다.
친일가요의 내용은 대부분 전쟁 참여를 독려하고 미화하는 것이며, 만주 개척이민 같은 식민정책을 선전하는 곡들도 일부 있다. 표현 수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작품 전체가 친일적인 내용으로 일관하는 노골적인 작품도 있고, 비유나 중의적인 표현을 써서 친일성에 대한 판단이 모호하거나 가사 일부만 친일성을 띠는 경우도 있다. 또 전체적인 맥락으로는 친일가요로 보기 어렵지만 전시체제를 연상시키는 특정한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검열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발표 당시부터 대중의 호응을 받지 못한 대부분의 노골적 친일가요는 광복과 함께 자연스럽게 사라졌으나, 「아들의 혈서」 같은 일부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에 개사되어 유통되기도 했다.
대중가요 역사에서 가장 부정적인 현상으로 평가되는 친일가요는, 과반의 작품 가사를 쓴 조명암의 경우를 제외하면, 관련 작가나 가수 개인 차원의 문제라기보다는 당시 대중가요계의 구조적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권력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는 대중문화의 속성과 결부된 것이므로, 1970년대의 건전가요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