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가요 ()

대중음악
개념
1930∼1940년대 일제의 침략전쟁과 식민정책에 직간접적으로 부응하는 내용을 담아 상업적인 대중가요의 생산ㆍ유통 과정을 거쳐 유포된 노래. 군국가요.
이칭
이칭
군국가요
정의
1930∼1940년대 일제의 침략전쟁과 식민정책에 직간접적으로 부응하는 내용을 담아 상업적인 대중가요의 생산ㆍ유통 과정을 거쳐 유포된 노래. 군국가요.
개설

1937년 일본주1을 일으킨 이후 전시체제가 강화되면서 침략전쟁과 식민정책에 협조적인 내용을 담은 노래들이 만들어졌다. 1937년 말에서 1938년 초에 걸치는 첫 번째 시기에 몇몇 곡이 발표되었고, 주2 발발 이후인 1942년부터 1943년까지 두 번째 시기에 많은 작품이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주로 전시체제와 관련된 작품이 많으므로 군국(軍國)가요라 칭하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일본에서는 이미 1930년대 중반부터 군국가요가 많이 발표되기 시작했으나, 식민지 조선의 친일가요 또는 군국가요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비로소 등장했다. 처음에는 대중가요계가 아닌 문단이나 악단의 명사들이 참여한 조선문예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이어 그 결과물이 대중가요 형태로 제작되었다.

1938년 초까지 몇몇 친일가요 음반이 발표되었으나, 이후 1941년까지는 별다른 작품이 확인되지 않는 공백기가 보이기도 한다. 이는 당시 친일가요에 대한 대중의 호응이 크지 않아 음반 판매가 예상보다 크게 부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몇 년 동안 예외적인 몇 곡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제작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던 친일가요는 1941년 12월에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직후부터 다시 발표되었고, 1942∼1943년에는 전체 대중가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었다.

친일가요에 대한 대중의 호응도가 예전과 달리 좋아진 것은 아니었으나, 한층 강화된 전시체제와 조선연예협회, 조선연극문화협회 같은 어용문화단체의 통제와 압력에 따라 대중가요계가 친일가요 생산에 나서지 않을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1944년 이후로는 음반 제작 자체가 중단될 정도로 전시 통제가 심해졌으므로 친일가요도 더 이상 등장하지 않았다.

내용

친일가요의 내용은 대부분 전쟁 참여를 독려하고 미화하는 것이며, 만주 개척이민 같은 식민정책을 선전하는 곡들도 일부 있다. 표현 수위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작품 전체가 친일적인 내용으로 일관하는 노골적인 작품도 있고, 비유나 중의적인 표현을 써서 친일성에 대한 판단이 모호하거나 가사 일부만 친일성을 띠는 경우도 있다. 또 전체적인 맥락으로는 친일가요로 보기 어렵지만 전시체제를 연상시키는 특정한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검열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현황

발표 당시부터 대중의 호응을 받지 못한 대부분의 노골적 친일가요는 광복과 함께 자연스럽게 사라졌으나, 「아들의 혈서」 같은 일부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에 개사되어 유통되기도 했다.

의의와 평가

대중가요 역사에서 가장 부정적인 현상으로 평가되는 친일가요는, 과반의 작품 가사를 쓴 조명암의 경우를 제외하면, 관련 작가나 가수 개인 차원의 문제라기보다는 당시 대중가요계의 구조적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권력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는 대중문화의 속성과 결부된 것이므로, 1970년대의 건전가요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 가요사 1』(박찬호, 미지북스, 2009)
「일제시대 군국가요 연구」, (이준희, 『한국문화』 46, 2009)
주석
주1

1937년 루거우차오(盧溝橋) 사건에서 비롯되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전쟁. 일본이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고 일으켰는데 1945년에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우리말샘

주2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연합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 제이 차 세계 대전의 일부로서,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되어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끝났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