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연합감리교회는 한인 이민사회의 친교와 교육, 문화의 중심지로서 민족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기독교 신앙을 배양하고 독립운동을 위한 요람으로 활동한 민족교회였다. 한인 이민자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갖게 하고, 이를 통해 미국 사회 내에서 원만한 유대 관계를 도모하도록 하며, 한인들 간의 결속과 단결을 증진하여 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고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LA연합감리교회는 1896년 감리교 의료 선교사로 한국에서 활동했던 셔만(Harry C. Sherman)의 부인(Florence Sherman)이 1904년 3월 11일 미국 남감리교회 선교부의 지원을 받아 한인 선교부(Korea Mission)를 설립하고, 신흥우를 첫 전도사로 초빙하면서 설립되었다. 신흥우는 1903년부터 1911년까지 남가주대학교(USC)의 유학생으로 학업과 교회 사역을 병행하였다. 그는 장인환 · 전명운의 스티븐스 처단 의거 재판에서 통역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USC 졸업 후 신흥우는 배재학당의 교장으로 임명되어 귀국하였으며, 그의 후임으로는 하와이한인감리교회의 2대 교역자로 활동하다 1911년 3월 남가주대학교(USC)의 신학부 입학을 위해 LA로 온 민찬호가 맡게 되었다. 1912년 민찬호는 당시 LA 내 두 개의 한인교회(한인감리교회와 한인장로교회)를 통합하였고, 1919년 USC 졸업 후 목사 안수를 받고 하와이 한인기독교회로 부임하였다. 민찬호가 하와이로 떠난 이후 통합된 한인교회 내에서 감리교 출신 교인들은 분립을 시도하여 1926년 9월 한승곤을 중심으로 나성한인감리교회(일명 ‘LA한인자유교회’)로 복귀를 선언하였고, 1930년 7월 10일 LA한인감리교회(일명 ‘나성한인감리교회’)로 재조직되었다.
LA한인감리교회는 1924년부터 나성국어학교를 운영하였는데, 1925년 11월 차경신을 교장으로 맞으면서 본격적인 국어교육의 체제를 갖추었다. 이것은 특히 한인 2세대에게 민족적 정체성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1931년부터 김강을 중심으로 금요 토론회가 운영되었고, 1938년 이경선이 교회 부목사로 부임한 이후 금요 토론회는 점차 기독교사회주의 사상을 가진 진보 세력의 결집체로 발전하였다. 이들 진보 세력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나성한인감리교회의 교인들이었고, 이후 독립운동으로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와 조선민족혁명당 북미총지부를 결성하고 『독립』 신문을 발행하였다. 해방 전후까지 교회에서 활동한 주요 사역자는 신흥우, 민찬호, 한승곤, 황사용, 이진묵, 장기형, 김하태, 오창희 등이며, 최영용, 박대희, 김광진이 일했다.
LA연합감리교회는 2023년, 이창민 담임 목사와 함께 신앙의 전통과 역사의 유산을 창조적으로 계승하며 예배와 교육과 선교와 봉사의 사명을 지역사회와 세계를 향해 실천해 가고 있다. 예배가 감격이 있는 교회, 가정을 회복시키는 교회, 젊은이들을 깨우는 교회, 이웃을 섬기는 교회가 4대 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