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헌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충청남도 천안의 아우내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김상헌(金相憲)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3년 7월 8일
사망 연도
1919년 4월 1일
출생지
충청남도 천안
대표 상훈
대통령표창|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상헌은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천안에서 일어난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4월 1일 충청남도 천안군 갈전면 병천리 아우내 시장터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서울에서 귀가한 유관순 일가가 중심이 되어 갈전면과 수신면 주민들이 참여해 아우내 장터로 모여 대규모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김상헌은 수신면 복다회리 주민들과 함께 참가하였으나 시위가 격렬해지자 일본 헌병들의 사격으로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충청남도 천안의 아우내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1919년 4월 1일 충청남도 천안군 갈전면(葛田面) 병천리(並川里) 아우내 장터에서 약 3,000명의 군중들이 독립만세를 외치는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천안 군내에서는 3월 28일부터 입장(笠場), 천안(天安), 풍세(豊歲) 등에서 독립만세와 횃불 독립만세를 외치는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갈전면에서는 4월 1일 독립만세를 외치기 수일 전부터 매일 밤에 병천 읍내를 중심으로 한 고지(高地)에서 불을 피우고 독립만세를 외치는 횃불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또한, 지역 인사들을 중심으로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는 계획들이 추진되었다.

경성에서 독립만세를 외쳤던 이화학당(梨花學堂)유관순(柳寬順)이 휴교령으로 인해 동면(東面) 용두리(龍頭里)로 귀가하였다. 유관순은 아버지 유중권(柳重權)과 작은아버지 유중무(柳重武) 등에게 경성의 독립운동 상황을 전하면서 독립만세를 부르자고 주창하였다. 이들은 조인원(趙仁元) 등과 협의하여 독립만세를 준비하였다.

갈전면에서는 김구응(金球應), 김상철(金相喆), 박종만 등이 활동하였다. 그리고 수신면(修身面)에서는 홍일선(洪鎰善)이 김교선(金敎善) · 한동규(韓東奎) · 이순구(李旬求), 성남면(城南面)의 이백하(李伯夏) 등과 협의하여 독립만세를 외치기로 결의하였다.

4월 1일 주도 인사들은 각각 규합한 동지들과 권유에 찬성한 마을 주민들을 이끌고 병천 아우내 장터로 모였다. 김상헌은 수신면 복다회리(卜多會里)의 김상훈(金相訓), 박유복(朴有福) 등 마을 주민들과 함께 참가하였다. 오후 1시경 먼저 조인원 등이 태극기를 흔들며 아우내 장터 시장 군중 500~600명과 독립만세를 외쳤다.

김교선, 김상철, 김구응 등도 합세하여 약 3,000명의 군중들이 시장 일대를 활보하며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병천 헌병주재소(憲兵駐在所) 헌병 5명은 시일(市日)을 맞아 만일을 대비하여 아침부터 경계를 강화하던 중 군중들이 “조선독립만세”를 외치자 즉시 해산을 명령하였다. 하지만 군중들은 불응하며 계속하여 만세를 고창하였다.

그러자 헌병들은 선두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군중들을 이끌던 기수(旗手)들을 향해 총칼을 휘두르고 군중들에게 사격을 가하였다. 사상자의 발생으로 해산했던 군중들은 사상자들을 수습하고 다시 집결하여 주재소로 갔다. 군중들은 헌병들에게 무력 진압을 항의하고 구타하며 주재소를 공격하고 파괴하였다. 위급함을 느낀 헌병들이 군중들을 향해 일제히 재차 사격을 가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만행을 자행하였다.

헌병들의 무자비한 탄압에 주재소를 벗어난 군중들은 해산하지 않고 주재소와 시장 근처의 고지에 모여서 공격할 기회를 보고 있었다. 일부 군중들은 우편소와 면사무소로 가서 시설물들을 파손시켰다.

오후 4시경 급보를 접한 천안철도엄호대(天安鐵道掩護隊)의 헌병들이 병천에 도착하자, 주재소 헌병들은 지원 헌병과 함께 사격을 가하여 군중들을 해산시려고 하였다. 그러나 군중들은 완전히 해산하지 않고 읍내 주위 높은 지대의 여러 곳에서 헌병들의 동태를 살폈다.

3차례에 걸친 헌병들의 무력 진압으로 60여 명이 사상을 당하였다. 함께 참여한 박유복 등은 부상을 당하고 김상헌은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정8년소요사건에 관한 도장관보고철(道長官報告綴)」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조선인의 부 재내지 4」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단행본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일관계사료집』(『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7, 국사편찬위원회, 2005)
이정은, 『유관순』(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4)
『독립유공자공훈록』 3(국가보훈처, 198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이용락, 『3 · 1운동실록』(삼일동지회, 1969)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독립문화사, 1965)
이병헌, 『3 · 1운동비사』(시사시보사, 1959)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선언사, 1921)

신문 · 잡지

『신한민보』(1919. 9. 2.)
『신한민보』(1919. 5. 27.)

판결문

「판결문」(고등법원, 1919. 9. 11.)
「판결문」(경성복심법원, 1919. 7. 4.)
「판결문」(경성복심법원, 1919. 6. 30.)
「판결문」(공주지방법원, 1919. 5. 21.)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집필자
김진호(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