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함경남도 이원의 천도교구장으로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였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원 참사 등으로 활동한 천도교인 ·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김좌철(金座哲)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6년 12월 21일
사망 연도
1939년 12월 29일
출생지
함경남도 이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병준은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읍에서 일어난 3 · 1독립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이원군 동면에 있는 이원천도교구실 교구장이었으며, 3월 10일 이원군 이원 읍내에서 천도교 신도들과 함께 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었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연통제 이원 참사와 독판부 이원 참사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함경남도 이원의 천도교구장으로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였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원 참사 등으로 활동한 천도교인 ·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1919년 3월 10일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利原) 읍내에서 천도교도 중심으로 700~800명이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3월 2일 경성에서 박용해(朴龍海)가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천도교구실에 와서 교구장인 김병준에게 교조(敎祖) 손병희 등의 독립선언서를 전하고 독립만세를 권유하였다.

이어 다음날 3일 교구실로 천도교도 박승룡(朴承龍), 공시우(孔時祐), 염처학(廉處學) 등 13명을 소집하여 독립운동 상황을 설명하고 협의하였다. 3월 10일 천도교 기도일에 다수 신도를 집합하여 독립만세를 외치기로 결의하고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기로 결정하였다.

3월 7일과 8일 이들은 재차 교구실에 집합하여 '조선민족독립국(朝鮮民族獨立國)'의 큰 깃발을 제작하고 조선독립단이원지단(朝鮮獨立團利原之團) 15명 명의의 독립선언서를 등사판으로 약 500매를 인쇄하였다. 또한, 3월 9일에는 박승룡, 공시우 등과 협의하여 이원 읍내 및 부근 마을에 사람을 파견하여 3월 10일 이원 읍내에서 독립만세를 외치자는 통지를 하였다.

3월 10일 통지에 따라 집합한 약 300명의 천도교도 등 군중들에게 독립선언 발표의 취지를 설명하고 참여를 권유하였다. 이어 ‘조선민족독립국’ 깃발을 앞세우고 이상하(李尙河) 등과 함께 군중들을 이끌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이원 읍내로 향하였다.

오전 11시 30분경 이도재(李道在), 조창서(趙昌瑞), 김선태(金璿泰) 등 주도 인사들의 지휘하에 만세 군중들은 독립기를 앞세우고 만세를 고창하면서 읍내 일대를 활보하였다. 이도재, 최병원(崔秉源), 정계표(丁桂杓) 등이 읍내 민가와 참가자들에게 독립선언서를 배포하였다. 읍내에서도 주민들 약 400명이 합류하여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서면 서문리(西門里) 이원헌병분견소 헌병들이 출동하여 독립만세를 제지하고 군중들을 강제로 해산시켰다.

현장에서 체포된 인사들과 이후 검거 작전으로 체포된 주도 인사들 및 참여자들은 함흥지방법원, 경성지방법원 재판에 회부되었다. 1919년 6월 30일 1심에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51명과 함께 공소를 제기하여 1919년 8월 18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공소 기각되었다. 38명과 함께 상고하였으나 1919년 10월 25일 고등법원에서 상고 기각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었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연통제(聯通制) 이원 참사(參事) 및 함경남도 독판부(督辦府) 참사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경성지법검사국문서(京城支法檢事局文書)」
「대정8년소요사건에 관한 도장관보고철(道長官報告綴)」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조선인의 부 재내지 3」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단행본

『함흥지방법원 이시카와 검사의 3 · 1운동 관련자 조사자료』Ⅰ,Ⅱ(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 2, 92권(국사편찬위원회, 2009)
『독립유공자 공훈록』16(국가보훈처, 2006)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6, 16(국사편찬위원회, 1993)
『함경남도지』(함경남도지증보편집위원회, 1988)
『이원군지』(이원군지편찬위원회, 198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조선민족운동연감』(1946)

논문

김진호, 「함경남도의 3 · 1운동」(『충청문화연구』 20,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신문 · 잡지

『매일신보』(1919. 9. 17.)
『매일신보』(1919. 8. 22.)

판결문

「판결문」(고등법원, 1919. 10. 25.)
집필자
김진호(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