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원규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평안북도 정주군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0년 3월 9일
사망 연도
1919년 3월 31일
출생지
평안북도 정주
대표 상훈
대통령표창|건국훈장 애국장
내용 요약

모원규는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면에서 일어난 3 · 1독립운동에 참가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31일 정주군 이언면 대성리에서 아버지 모신영, 동생 모원봉과 함께 주민들이 집합하여 이언면에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이어 정주 읍내로 나아가 만세 군중에 합류하였다. 정주 읍내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헌병들의 총격으로 현장에서 아버지, 동생과 함께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평안북도 정주군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아버지는 모신영(毛信永)이고, 동생은 모원봉(毛元鳳)이다.

주요 활동

1919년 3월 31일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면(定州面) 정주 읍내에서 약 4,000명의 천도교인, 기독교인 등이 중심이 되어 대규모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주에서는 3월 1일 독립만세를 외치려는 움직임이 있은 후 3월 6일 곽산(郭山), 3월 7일 갈산(葛山) 오산학교(五山學校), 고읍(古邑), 아이포(阿耳浦), 3월 8일 정주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있었다. 이후 3월 15일에는 정주에서 기독교인, 학생, 주민들이 함께 만세를 고창하였다.

한편, 천도교 측에서는 경성의 독립운동 상황을 김진팔(金鎭八)이 정주에 전달하였다. 정주 교구장 최석일(崔晳一)이 백중빈(白重彬), 이근배(李根培) 등 천도교 간부들과 회합을 갖고 독립만세를 협의하였다. 이들은 3월 31일 독립만세를 결의하고, 각 면의 천도교 신도 등에게 참가 권유를 통지하였다.

3월 31일 고읍, 곽산, 고현(高峴), 동주(東州), 마산(馬山), 이언(伊彦) 등 각 면에서 주민들이 독립만세를 외쳤고 정주 읍내에서는 군민들이 집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정오경부터 읍내 동쪽 1리 정도 떨어진 언덕에 군중들이 집결하기 시작하여 오후 1시 30분경에는 읍내로 진입을 시도하였다. 오후 2시경에는 고현 · 동주 · 신안(新安) 등의 면민들은 읍성 동문(東門), 아이포 · 이언 · 덕달(德達) 등 면민들은 남문(南門), 임해(臨海) 등 면민들은 서문(西門)을 통해 읍내로 들어왔다.

모원규는 이언면 대성리(大成里)에서 아버지 모신영, 동생 모원봉과 함께 주민들이 집합하여 이언면에서 독립만세를 외치고, 정주 읍내로 나아가 만세 군중에 합류하여 참가하였다. 읍내에 집결한 군중들은 일본인들의 집단 거주지인 남문 쪽으로 이동하여 정주우편국 앞에 이르기까지 만세 행진을 전개하였다.

일제는 성내동(城內洞)의 정주 헌병분대(憲兵分隊) 헌병과 보병 제77연대 수비대 도비타[飛田] 중위 휘하 48명의 보병 및 소방대(消防隊) 10여 명 등을 출동시켜 군중들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해산시켰다. 수비대가 '독립(獨立)' 깃발을 든 김사걸(金士杰)을 총칼로 쓰러뜨렸다. 이에 최석일이 깃발을 주어 흔들며 독립만세를 외치자, 수비대가 최석일의 오른팔을 내리쳤다. 이어 최석일이 다시 깃발을 주어 왼손으로 흔들자, 수비대는 왼팔마저 내리치고 찔러 결국에는 순국하게 되었다.

이들 2명의 순국을 현장에서 목격한 군중들은 더욱 격렬하게 항거하며 독립만세를 외쳤다. 그러자 수비대와 소방대 등이 군중들을 향해 일제히 무차별 사격을 자행하는 무력 진압으로 모원규는 아버지 모신영, 동생 모원봉, 동주의 김칠성(金七星), 고현 오리(五里)의 조약영(趙若永) 등과 함께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이 독립만세운동에서 28명이 순국하고 경상자 58명을 포함한 99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현장과 이후에 검거된 인사가 100여 명에 이르렀다.

상훈과 추모

1980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정8년소요사건에 관한 도장관보고철(道長官報告綴)」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조선인의 부 재내지 4」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단행본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독립유공자공훈록』 3(국가보훈처, 198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2(국가보훈처, 1971)
이용락, 『3 · 1운동실록』(삼일동지회, 1969)
김승학, 『한국독립사』 하(독립문화사, 1965)
이병헌, 『3 · 1운동비사』(시사시보사, 1959)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선언사, 1921)

신문 · 잡지

『독립신문』(1921. 3. 26.)
『신한민보』(1919. 7. 10.)
『신한민보』(1919. 5. 27.)
『매일신보』(1919. 4. 3.)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집필자
김진호(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