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점현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와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사천시장 일대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919년 3월
출생지
평안남도 강서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점현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강서군 반석면 사천장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참가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4일 대동군 금제면 원장 장날에 반석면 상사리 사천장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 참여하여 앞장서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였다. 일본 헌병이 발포하며 군중들과 대립하였고, 군중들에게 일본 헌병이 살해되었다. 김점현은 이 일로 붙잡힌 후, 가혹한 고문을 받던 중 강서경찰서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 원장리와 강서군 반석면 상사리 사천시장 일대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순국한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1919년 3월 4일 평안남도 대동군 금제면(金祭面) 원장리(院場里)와 강서군 반석면(斑石面) 상사리(上四里) 사천(沙川)에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금제면 원장리에서 반석면 사천까지 약 25리[약 9.8㎞] 거리에 있었다. 두 곳은 다른 군이지만 각기 면사무소 소재지이며, 5일 만에 한 번씩 장이 서므로 서로 왕래가 잦았다. 사천장은 모락장이라고도 한다.

반석면 반육리(班六里)에 있던 반석교회(盤石敎會)의 장로 조진탁(曺振鐸)이 2월 28일 평양에 갔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한 뒤, 독립선언서를 얻어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오면서부터 만세시위운동이 추진되었다. 그런데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사전 준비를 하던 도중 모락장교회의 간부 10여 명이 헌병주재소로 강제 연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기독교 장로교파 소속 반석교회와 원장교회(院場敎會)는 모두 수백 명의 신도가 있었다. 두 교회는 원장리 장날인 3월 4일 합동으로 독립만세운동을 벌였다. 예정대로 오전 10시 독립선언식을 시작으로 전개되었다. 시위 군중은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원장장터로 행진하였다. 이에 그곳에 모인 장꾼들도 합세하여 시위군중은 3,000여 명으로 늘어났다. 시위대는 연행당한 사천장교회 간부들을 구출하기 위해 강서군 사천장으로 나아갔다.

강서군 출신인 김점현도 만세시위 대열에 참여하여 앞장서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여 사천장 입구까지 들어섰다. 그때 대기하고 있던 일본 헌병들은 발포하며 이들을 저지시키려고 하였지만, 시위 군중들은 투석으로 대항하며 계속 전진하였다.

사태가 불리함을 느낀 일본 헌병분견소장 사토[佐藤] 상등병과 보조원 3명이 도망쳤다. 그때 김점현은 헌병 보조원인 박요섭(朴堯燮)을 따라가 다른 시위 군중 5명과 함께 박요섭을 처단하였다. 또한, 사토 상등병과 나머지 보조원 2명도 시위 군중에 의해 살해되었다. 김점현은 이 일로 붙잡힌 후, 가혹한 고문을 받던 중 강서경찰서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6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병조, 『한국독립운동사략』 상(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2(국가보훈처, 1971)

신문 · 잡지

『동아일보』(1927. 6. 11.)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집필자
이동언(선인역사문화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