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두원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경상북도 안동군 천지시장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 4월 6일
사망 연도
1919년 3월 24일
출생지
경상북도 안동군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손두원은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안동 3 · 1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21~22일 경상북도 안동 길안면 천지시장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시위대와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행진하였고, 길안면사무소와 주재소에서 투석전을 전개하였다. 3월 24일 시위에 참여하였다는 명목으로 체포하려고 하자, 극력 저항하다가 일본 경찰의 발포로 총상을 입고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경상북도 안동군 천지시장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1883년 4월 6일 태어났다. 1919년 3월 24일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3월 1일 서울을 비롯한 7개 도시에서 일제히 만세시위가 일어났다. 경상북도 안동군 임하면(臨河面) 오대동(梧垈洞)에 사는 손영학(孫永學), 김정익(金正翼), 김정연(金正演), 장두희(張斗凞) 등은 길안면(吉安面) 천지(泉旨)시장에서 만세시위를 일으키기로 결의하였다.

3월 21일 아침에 그들은 태극기를 숨겨서 천지시장에 도착하였으며, 시장에서 구입한 당목(唐木)에 ‘대한독립만세’를 적은 큰 기(旗)를 만들었다. 오후 5시경에 손영학을 비롯한 시위 주도자들은 시장 중앙에 태극기와 큰 기를 세우고 독립만세를 선창하면서 만세시위를 시작하였다.

손두원(孫斗源)은 장터에 나왔다가 만세시위에 합류하였다. 350여 명의 시위대와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면서 길안면사무소로 행진하였다. 일본 군경이 시위대를 저지하자, 시위대는 면사무소를 향해서 돌을 던져 면사무소의 유리창과 출입문을 파손하였다.

오후 9시경 시위대는 주재소로 몰려가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일본 군경이 무력을 행사하자, 시위대는 투석전을 전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주재소 유리창과 문이 파손되었다. 일본 군경의 발포로 자정 무렵에 이르러 시위대는 해산하였다.

다음날인 3월 22일 오후에도 손두원은 시위대 300여 명과 함께 주재소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시위대는 일본 군경을 향해서 투석전을 전개하였으며, 오후 8시경 일본 군경의 발포로 해산하였다.

3월 24일 일본 군경이 시위에 참여하였다는 명목으로 손두원을 체포하려고 하자, 나막신으로 일본 경찰의 얼굴을 치면서 저항하였다. 그러자 일본 경찰이 실탄 3발을 발사하여 총상을 입고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희곤, 『안동사람들의 항일투쟁』(지식산업사, 200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국가보훈처, 1971)

판결문

「판결문」(대구지방법원안동지청, 1919. 5. 3.)
「판결문」(대구복심법원, 1919. 5. 23.)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국가기록원 독립운동관련 판결문(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Main.do)
집필자
한승훈(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