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복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창원의 진전면 · 진북면 · 진동면 연합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4월 3일 경상남도 창원의 진전면 · 진북면 · 진동면에서 일어난 삼진 연합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진전면 양촌리 냇가에 모여 만세시위를 전개하였고, 일본 헌병의 저지에 맞서 격렬한 시위를 벌이다 일본 헌병의 발포로 총상을 입고 4월 4일 순국하였다.
경상남도 창원 출신으로, 출생 연도는 미상이다. 1919년 4월 4일 사망하였다.
1919년 3월 28일 창원군 진동면(鎭東面) 고현리 장날 만세시위를 주도한 변상태(卞相泰), 권영대(權寧大), 권태용(權泰容)은 진전면(鎭田面) · 진북면(鎭北面) · 진동면, 이른바 삼진(三鎭)이 연합하는 만세운동을 추진하였다. 그들은 진전면, 진북면, 진동면의 청년 유지들에게 만세시위를 일으킬 것을 제안하였다. 변상섭(卞相攝), 황태익(黃泰益), 김영종(金永鍾), 구수서(具守書), 변상술(卞相述), 변우범(卞又範)과 함께 만세시위를 주도하기로 결의하였다.
4월 1일 변우범의 집에 모인 변상태와 황태익은 4월 3일 만세시위를 계획한 후, 마을 사람들에게 태극기를 미리 나누어 주었다. 그들은 삼진 지역 일대를 돌아다니면서 동네 사람들에게 만세시위 참여를 독려하였다.
4월 3일 오전 9시에 진전면 주민들은 양촌리 냇가에 집결하였다. 변상섭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변상태가 독립만세를 선창하자, 수천 명의 시위대는 태극기를 흔들면서 만세시위를 시작하였다. 자체적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진동면 주민들이 합세하여 5,000여 명으로 불어난 시위대는 진동면의 일본 헌병 주재소로 행진하였다.
시위대가 사동리(社洞里) 다리에 이르자 일본 헌병대와 일본 재향군인 30여 명이 시위대의 진출을 차단하였다. 일본 헌병이 선두에서 태극기를 흔들면서 시위를 주도하던 김수동(金守東)을 향해서 발포하여 쓰러지자, 태극기를 이어받아 돌진하던 변갑섭(卞甲燮)의 양어깨를 총칼로 내리쳤다.
그로 인해 김수동이 즉사하고 변갑섭이 쓰러지자, 이에 격분한 시위대는 일본 헌병을 향해서 투석전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일본 헌병은 다시 시위대를 향해서 발포하였으며, 변상복도 총탄을 맞고 쓰러졌다. 다음날인 4월 4일 순국하였다.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