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갑섭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창원의 삼진 만세운동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919년 4월 4일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
대표 상훈
대통령표창|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변갑섭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창원의 진전면 · 진북면 · 진동면 연합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4월 3일 경상남도 창원의 진전면 · 진북면 · 진동면에서 일어난 삼진 연합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진전면 양촌리 냇가에 모여 만세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일본 헌병의 저지에 맞서 선두에서 시위대를 이끌다가 일본 헌병의 총칼을 맞고 4월 4일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창원의 삼진 만세운동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경상남도 창원 출신으로, 출생 연도는 미상이다. 1919년 4월 4일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3월 28일 창원의 진동면(鎭東面) 고현리 장날 만세시위를 주도한 변상태(卞相泰), 권영대(權寧大), 권태용(權泰容)은 일제의 검거를 피하던 와중에 진전면(鎭田面), 진북면(鎭北面), 진동면, 이른바 삼진(三鎭)이 연합하는 만세시위를 추진하였다. 그들은 진전면, 진북면, 진동면의 청년 유지들에게 만세시위를 일으킬 것을 제안하였다. 변갑섭은 그들의 연락을 받고 만세시위를 주도하기로 결의하였다.

4월 1일 변상태와 황태익(黃泰益)은 변우범(卞又範)의 집에 모여서 회의를 한 후, 마을 사람들에게 만세시위에 사용할 태극기를 미리 나누어 주었다. 이와 동시에 삼진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마을 사람들에게 만세시위에 참여할 것을 독려하였다.

4월 3일 오전 9시에 진전면 주민들이 양촌리 냇가에 집결하였다. 변갑섭은 양촌리 냇가로 가서 만세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변상섭(卞相攝)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변상태가 독립만세를 선창하자, 수천 명의 시위대는 태극기를 흔들면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시위대는 헌병주재소가 있는 진동면으로 행진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진동면 주민들도 시위에 합류함으로써 시위대는 약 5,000여 명에 이르렀다. 일본 헌병대와 일본 재향군인 30여 명이 사동리(社洞里) 다리에서 시위대를 저지하고, 시위대 선두에서 태극기를 흔들면서 시위를 독려하던 김수동(金守東)을 향해서 발포하였다.

변갑섭은 김수동과 함께 시위대를 이끌다가 김수동의 순국을 목격하자, 태극기를 들고 일본 헌병대 앞으로 돌진하였다. 그러자 일본 헌병이 칼로 그의 양어깨를 내리쳤으며, 그로 인해 양어깨가 절단된 채 쓰러졌다.

일본 헌병의 총칼에 의해 선두에서 시위대를 이끌던 김수동이 사망하고 변갑섭이 쓰러지자, 이에 격분한 시위대는 일본 헌병을 향해서 투석전을 전개하였지만, 일본 헌병의 무력으로 현장에서 8명이 순국하였다. 변갑섭은 일본 헌병의 총검에 의한 부상이 악화되어서 다음날인 4월 4일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국가보훈처, 1971)

판결문

「판결문」(경성복심법원, 1920. 10. 30.)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국가기록원 독립운동관련 판결문(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Main.do)
집필자
한승훈(고려대학교 독일어권문화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