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서문교회 ( )

목차
관련 정보
개신교
단체
1893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에 설립된 기독교 장로교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93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에 설립된 기독교 장로교회.
개설

1893년 미국 남장로 교회 선교회 레이놀즈(William D. Reynolds) 선교사의 파송을 받은 정해원(鄭海元)이 설립한 호남 지역 최초의 교회이다.

연원 및 변천

선교사들 중 가장 먼저 호남 땅을 밟은 선교사는 호주 장로회에서 파송을 받고 온 데이비스(J. Henry Davis) 목사였는데, 그는 1889년 서울에서 선교지인 부산으로 향해 가던 도중에 충청도와 전라도를 경유하였다. 1893년 선교지 분할협정(Commity Agreements)에 따라 호남 지방인 충청도와 전라도가 미 남장로회 선교회의 선교 지역으로 지정(指定)되었다.

그 당시 호남에는 동학교도들의 움직임으로 민심이 흉흉했고 선교사들은 민심의 동향과 지역 사정에 밝지 못했다. 미국 공사관의 만류로 선교사들이 나서기보다는 믿을 수 있는 한국인을 선임해 파송하기로 했다. 이에 미 남장로회 레이놀즈 선교사의 어학 선생이면서 자신들의 일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던 정해원을 파견했다. 정해원은 저잣거리에 돌아다니며 민심을 살피는 일과 장터 전도를 하였다.

1897년 7월 17일에 레이널즈 목사의 집례로 남자 2명과 여자 3명(김내윤, 김창국과 여자 강씨, 임씨, 김씨)이 세례를 받았다. 이로써 ‘전주교회’가 한국인 세례 교인이 있는 교회로 정식으로 성립되었다. 동년 9월 5일 주일에는 레이놀즈의 설교 후 교인들이 자진해 예배당 개수(改修)를 위한 특별 헌금 할 것을 결정하였고, 해리슨 선교사가 살며, 예배 처소로 겸하고 있는 집을 앞으로는 예배당으로 전용할 수 있게 방을 넓히고 인원을 많이 수용하도록 개수했다. 이때부터 이 건물은 전주 교회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다. 교인은 여자들 외에 남자가 20명가량이 출석했다.

1905년 9월 서문밖 현 위치로 옮겨 780평 기지를 구입하고 건평 50평의 벽돌 기와지붕 예배당을 건축하였다. 1908년 8월에는 김필수를 장로로 장립하여 비로소 당회(堂會)가 조직되었다. 1908년 12월에는 전북지역 선교를 하다 별세한 전킨 선교사를 기념하는 종각을 세우고, 1911년 4월 교세 확장으로 예배당을 ‘ㄱ 자형’으로 32평을 증축하여 89평의 큰 예배당을 건립하였다. 1912년 서문안 여자소학교를 설립하고, 1920년대에는 여자야학회, 전주유치원, 숭덕성경학교 등을 개설, 운영하였다. 1935년에는 다시 교세 확장을 현 위치에 평면 115평, 연건평 230평의 2층 벽돌집 예배당을 새롭게 건축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1971∼74년에 걸쳐 평면 100평, 연건평 320평에 지하실과 지상 3층의 교육관을 건축하였고, 1981년 기존 예배당이 노후되어 평면 300평 연건평 790평 지하 1층 지상 2층의 현재 예배당을 3년에 걸쳐 신축하고, 1983년에 교회창립 90주년 기념식과 헌당식을 거행하다. 교회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평면 120평, 연건평 705평, 지하 1층, 지상 5층의 ‘100주년 기념관’을 1992년에 완공한 후 1993년 교회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였다.

참고문헌

『전주서문교회 100년사』(100년사편찬위원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전주서문교회, 1999)
『호남 기독교 100년사: 전북편』(김수진, 쿰란출판사, 1998)
집필자
김권정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