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기독교구국회 ()

개신교
단체
6·25전쟁 시기, 대전에서 결성된 개신교 구국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50년
설립자
한경직
설립지
대전
소재지
대전, 대구, 부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한기독교구국회는 6.25전쟁 시기 대전에서 결성된 개신교 구국 단체이다. 1950년 7월 3일 한경직 등 개신교 교역자들에 의해 대전 제일장로교회에서 결성되었다. 이후 선무·구호·방송·의용대 모집 등의 활동을 전개하여 개신교 각 교파 사이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개신교반공주의 강화의 요인이 되었다.

정의
6·25전쟁 시기, 대전에서 결성된 개신교 구국 단체.
연원 및 변천

1950년 7월 3일 개신교 교역자들에 의해 대전 제일장로교회에서 대한기독교구국회가 결성되었다. 당시 임시정부는 대전 선화동 충남도청 청사에 내려와 있었고, 미24보병 사단장 윌리엄 딘(William F. Dean) 소장이 대전비행장(현,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 지휘소를 설치하고 대전 사수에 나선 상황이었다.

피난 차 대전에 내려 온 개신교 각 교파의 교역자들은 서울에서 실현하지 못한 구국의 사업을 계속할 것을 결의하면서 구국 단체를 결성하였다. 회장은 장로교한경직(韓景職)이었고, 부회장은 성결교김창근(金昌根), 감리교의 황치헌(黃致憲), 주1의 황종률(黃種律)이었다.

북한군의 공격에 밀려 정부가 남하하자 구국회도 전국적으로 지회를 설치하게 되었는데, 7월 17일에는 대구, 9월 이후로는 부산으로 거점을 옮겨 사업을 계속해 나갔다. 이들 지역을 비롯한 13개 도시에 설립된 지회는 국방부사회부와 협력하여 전쟁 중 선무 · 구호 · 방송 · 의용대 모집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기독교의용대는 대한기독교구국회의 사업 가운데 하나였다. 김병섭이 기독교의용대 대장을 맡았는데 부대 창설이 여의치 않자 대원 모집 두 달 만에 의용대를 해산하고 대원들을 미군 부대와 육군 통신 부대에 연결시켜 주었다. 6·25전쟁에 기독교의용대가 참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원들이 의용대 해산 후 다른 부대에 입대해서 참전한 것이었므로 기독교의용대가 참전한 것은 아니다.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국군과 유엔군이 9월 28일 서울을 탈환하고 북으로 진격해 올라가자 대한기독교구국회 소속 선무공작대원 약 1,000명은 훈련 후 국군 점령지역에 파송되기도 했다.

의의 및 평가

6·25전쟁 시기 대한기독교구국회의 조직은 개신교 각 교파 사이의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개신교의 반공주의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인철, 『한국기독교와 국가 시민사회 1945~1960』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종교교육부, 1956)
김흥수, 『한국전쟁과 기복신앙확산 연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8)
이혜정, 『한경직의 기독교적 건국론』 (기독교서회, 2011)
이혜정, 『한경직의 시대와 설교』 (박문각, 2017)
주석
주1

1865년에 영국인 부스(Booth, W.)가 창시한 개신교의 한 파. 거듭남, 성결(聖潔), 봉사를 중히 여기는 군대식 조직으로, 전도와 사회사업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08년에 전래되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