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 귀걸이)

선사문화
작품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자리한 대가야 고분군인 합천 옥전 28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한 쌍.
이칭
이칭
금제이식(金製耳飾)
작품/조각·공예
창작 연도
5세기
소장처
국립진주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9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남성동, 국립진주박물관) 등 2개처
내용 요약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는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자리한 대가야 고분군인 합천 옥전 28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한 쌍이다. 특이하게 중심고리에 노는고리가 하나 걸려 있고 그것에 다시 3줄의 수식이 매달려 있다. 귀걸이의 중간 부분에는 속이 빈 구슬 여러 개가 금사슬로 엮여 있고 맨 아래에 심엽형과 원추형 드림이 달려 있다. 2019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자리한 대가야 고분군인 합천 옥전 28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한 쌍.
제작 배경

5세기 중엽, 대가야권의 유력자들은 자신들의 위세를 드러내기 위해 금속공예품을 소유했다. 대가야의 중심지인 고령에는 귀금속 공방(工房)이 있었고 그곳에서 대가야 양식을 발현한 다양한 종류의 금속공예품을 제작하였다. 당시 금속공예품의 제작과 소유는 대가야 왕이 통제하였는데, 그것을 옥전 28호분 주인공이 입수한 것으로 보인다.

내용

1985년부터 1986년까지 경상대학교박물관에 의해 발굴조사된 합천 옥전 28호분은 5세기 중엽에 축조된 대형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이다. 덧널[목곽(木槨)] 바깥의 보강토에 석재가 많이 포함되었다. 무덤 내부에서는 금귀걸이뿐만 아니라 장식대도, 청동팔찌, 금반지, 유리제 목걸이, 갑주 등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금귀걸이는 무덤 주인공의 유해에 착장되었던 것이다.

형태 및 특징

보통 가야 귀걸이는 가는 주고리 아래 1줄의 수하식을 매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귀걸이는 3줄의 수식을 갖추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2줄의 수식은 작은 고리를 통해 노는고리에 걸려 있지만 1줄의 수식은 떨어져 있다. 원래는 유기물로 매달았던 것 같다. 3줄의 수식 중 2줄은 자그마한 구체와 길쭉한 금사슬로 연결되어 있고 맨 아래에는 끝이 뾰족한 심엽형 드림이 달려 있다. 그에 비해 다른 1줄의 수식은 조금 더 큰 구체가 금실로 연결되어 있고 맨 아래에 원추형 드림이 달려 있다. 좌우 귀걸이의 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데 하나는 9.9㎝, 다른 하나는 10.1㎝이다.

의의 및 평가

이 금귀걸이는 하나의 귀걸이에 3개씩의 수식이 매달린 것으로, 대가야 금속공예품의 양식이 발현되던 시점의 공예기술과 조형미를 가장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정식 조사를 통해 발굴되어 출토지가 확실하고, 한 쌍이 완전히 남아 있어 보존상태가 양호한 점 등 학술적 · 예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2019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합천 옥전고분군Ⅵ -23 · 28호분-』(경상대학교박물관, 1995)
집필자
이한상(대전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