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 후기, 재조대장경 경판에서 인출한 『유가사지론』 100권 중 권20에 해당하는 논서.
이칭
이칭
유가론 권20(瑜伽論 巻二十)
문헌/고서
편찬 시기
고려시대
간행 시기
1246년(고려 고종 33)
저자
미륵보살
편자
번역- 현장
권책수
100권 중 제20권
권수제
권수결락
판본
목판본
표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소장처
국립한글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再雕本 瑜伽師地論 ?二十)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6년 01월 0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용산동6가, 한글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은 고려 후기, 재조대장경 경판에서 인출한 『유가사지론』 100권 중 권20에 해당하는 논서이다. 유가사지론은 유가행파의 근본 논서로 20권은 수행의 삼매로부터 만들어지는 이치를 풀어가는 지혜를 해석한 논서이다. 고려시대의 석독구결이 있어 사상사 및 국어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정의
고려 후기, 재조대장경 경판에서 인출한 『유가사지론』 100권 중 권20에 해당하는 논서.
저자 및 편자

미륵보살이 쓰고, 당나라 현장이 648년에 번역하였다.

서지 사항

목판본으로, 총 100권 중 제20권에 해당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권말의 “병오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丙午歳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라는 간행 기록으로 볼 때 1246년(고려 고종 33)에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판각한 재조대장경의 판본이며, 13~14세기경에 인출한 권자본(巻子本)의 후인본(後印本)으로 추정된다. 20권은 특히 자토석독구결(字吐釋讀口訣)이 기입되어 있어 유식사상사 및 국어사 연구에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구성과 내용

유가사지론』은 미륵보살설로 유통되며, 100권으로 648년 현장이 번역하였다. 『유가론(瑜伽論)』으로 약칭하고, 중국에서 법상유식학파의 소의 경론으로 중시되었다. 일체의 인식 대상, 수행, 수행의 결과에 대해 명확히 밝힌 논서이다. 특히, 아뢰야식설(阿賴耶識說), 삼성삼무성설(三性三無性說), 유식설(唯識說) 및 기타 사상적으로 중요한 여러 문제가 설시되어 있다.

전체는 본지분(本地分), 섭결택분(攝決擇分), 섭석분(攝釋分), 섭이문분(攝異門分), 섭사분(攝事分)의 5장으로 조직되어 있다. 본 문헌은 그 가운데 제20권으로 본지분의 일부이다. 제1 본지분은 29권까지인데 삼승의 사상을 17지로 나누어 설명하는 부분이다. 제20권은 이 가운데 12번째 지로서, 삼승이 공통으로 수행하는 방편적 행위 가운데 수소성지(修所成地)가 설명된다.

수소성지에서는 수습의 장소, 수습의 인연, 요가 수습, 수습의 결과 등 수습의 양상을 설명한다. 이 가운데 특히 「십상(十想)」의 관법이 주목된다. 이것은 선정에 들어가기 위한 관법으로서 그 결과 일체의 탐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실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은 고려시대에 꼼꼼하게 연구되었으며, 그 연구의 흔적이 석독구결(釋讀口訣)로 남아있다. 순독구결(順讀口訣)이 아닌 석독구결이라는 점에서 고려시대의 유식사상 이해 수준을 아는데 중요할 뿐 아니라 국어사 연구에서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다. 2016년 1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장경준, 『『유가사지론』점토석독구결의 해석 방법연구』(국어학회, 2007)
権来順, 『古代インド仏教における観想法: 『瑜伽師地論』修所成地に説かれる十想とその背景に関する研究』(東北大学박사논문, 2002)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집필자
김천학(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