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주서무일편 병풍 ( )

서예
작품
문화재
조선 후기 제작된 10폭 병풍.
작품/서화
작가
영조(英祖) 추정
소장처
법주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04년 07월 09일 지정)
소재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번지
내용 요약

「보은 법주사 주서무일편 병풍」은 조선 후기 제작된 10폭 병풍이다. 충청북도 보은군 법주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제작 연대와 서사자는 병풍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영조의 어필로 추정하고 있다. 크기는 가로 73.5㎝, 세로 170.0㎝의 10곡병이며, 감지에 금니로 썼다. 2004년 7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10폭 병풍.
제작 배경

제작 연대와 서사자는 병풍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으나 1758년(영조 34)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영조의 어필로 추정하고 있으며, 모두 10폭이다. 글씨는 묵(墨)이 아닌 금분(金粉)으로 서사(書寫)하였다.

내용

‘주서무일편’의 명칭은 『 상서(尙書)』의 일부분이다. 『상서』는 「서전(書傳)」과 「주서(周書)」로 구성된 주(周) 나라의 역사서로, 그 중 「주서」는 총 3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일편’은 그 중 17번째 편명으로 주1이 지었다고 전한다. 선행 연구자에 의하면 고려시대 역사에 약 15회, 조선시대에는 57회 정도 ‘무일편’과 관련된 내용이 언급되고 있다. 대체로 왕과 신하들은 경연(經筵)에서 ‘무일편’을 자주 언급하였고, ‘무일편’을 쓴 병풍이나 내용을 담은 그림 병풍을 왕좌의 옆에 두고 항상 읽게 하여 마음을 경계하도록 하였다.

영조의 어필은 촉체(蜀體), 즉 조맹부의 송설체와 왕희지의 진체(晋體)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다만 영조 어필은 송설체보다 강한 기필과 자신감이 드러나면서도, 팽팽한 긴장감보다는 일정한 율동감이 특징이다. 최근에 이 병풍의 글씨가 영조의 어필과 차이가 크다는 논지의 논문이 발표되어 이 병풍의 영조 어필 여부는 재논의가 필요하다.

형태 및 특징

크기는 가로 73.5㎝, 세로 170.0㎝의 10곡병이며, 감지(紺紙)에 금니(金泥)로 썼다.

의의 및 평가

조선 후기 「주서」에 대한 인식과, 이를 병풍으로 제작한 사례를 확인시켜 주지만, 영조 어필인지의 여부는 명확히 밝혀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2004년 7월 9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송수영, 「〈보은 법주사 주서무일편 병풍〉의 서사자에 대한 논의 제고」(『서예학연구』 34, 한국서예학회, 2019)
박문열, 「영조대왕 어필 〈무일편〉 병풍에 관한 연구」(『인문과학논집』 29, 인문과학연구소, 2004)

웹페이지

문화재청(http://www.cha.go.kr/main.html)
주석
주1

중국 주나라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로 성은 희(姬). 이름은 단(旦). 형인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하였고, 주나라의 기초를 튼튼히 하였다. 예악 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였으며, ≪주례(周禮)≫를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성인근(경기대학교 초빙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