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징 필 산수화조도첩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 화가 이징의 산수 및 화조 그림들과 당대 문인들의 시문으로 구성된 시서화첩.
작품/서화
창작 연도
1642년(인조 20)경
작가
이징(李澄)
소장처
간송미술문화재단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李澄 筆 山水花鳥圖帖)
분류
유물/일반회화/산수화/산수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8년 06월 27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조선 17세기 대표화가인 이징의 산수 및 화조 그림들과 당대 문인들의 시문으로 구성된 시서화첩이다. 조선 전기 안견파 양식의 영향과 문인화풍 수묵화조화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이식, 이명한, 윤신지 등 당대 문인들의 시문도 함께 구성되어 조선시대 회화사와 문학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정의
조선 후기, 화가 이징의 산수 및 화조 그림들과 당대 문인들의 시문으로 구성된 시서화첩.
내용

왕실 출신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庶子)였던 허주(虛舟) 이징(李澄, 1581~?)은 모든 화재(畵材)에 두루 뛰어났던 17세기의 대표적 화가이다.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으로서 광해군인조의 총애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당대 문인들 사이에서도 명성이 자자하였다.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10폭의 산수화와 8폭의 화조화로 구성된 이징의 그림과 신익성(申翊聖, 15881644))의 서문, 정두경(鄭斗卿, 15971673)의 발문, 이식(李植, 1584∼1647), 이명한(李明漢, 1595∼1645), 윤신지(尹新之, 1582~1657) 등의 제시 37점을 수록한 시서화(詩書畵) 합벽첩(合壁帖)이다. 시문과 제발문 등을 통해 볼 때, 이 그림들은 1642년(인조 20)경에 제작되었으며, 처음에는 두루마리 형태로 존재했다가 1648년 무렵에 현재의 화첩과 같은 형태로 장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및 특징

10점의 산수화는 각기 그림에 대한 시문과 짝을 이루고 장정되어 있다. 안견파(安堅派) 양식의 확장된 편파구도와 단선점준(短線點皴), 절파(浙派) 양식의 흑백 명암대비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경물의 구조, 인물의 모습이나 행동들은 화보에 등장하는 이미지와 유사하다.

8폭의 화조화는 2폭씩 화면 좌우 중심에 무게를 두는 대칭구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새가 화면의 중심이 되고 꽃과 나무 등의 자연이 화면의 한쪽에 치우쳐 등장하는 소경산수화조화(小景山水花鳥畵 ) 형식을 취하고 있다. 백로, 기러기, 금계, 백한, 원앙 등 각 폭마다 종류가 다른 새들이 한 쌍씩 등장하며, 새들의 모양과 자세는 조선 후기에 유행한 전형적인 화보풍 수묵화조화 양식을 보여준다.

의의 및 평가

17세기 최고 화가의 은일(隱逸)적 이상향을 구현한 수묵화들과 당대 유명 문인들의 시문으로 구성된 시서화첩(詩書畵帖)으로 조선시대 문화예술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작품이다. 2018년 6월 2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화재대관, 『보물』-회화 1(문화재청, 2018)
간송문화, 『화조영모』 79(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0)

논문

이은하, 「조선시대 화조화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이원복, 「조선중기 사계영모도고」(『미술자료』 47, 국립중앙박물관,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