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봉업사지 ( )

고려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고려 제4대 광종 때 중창된 봉업사 터.
이칭
약칭
봉업사지(奉業寺址)
유적/터
원건물 건립 시기
고려 전기
면적
41,284㎡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145-2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시도기념물(2003년 4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145-2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안성 봉업사지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고려 제4대 광종 때 중창된 봉업사 터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화차사를 기반으로 고려 광종~성종 연간에 봉업사라는 이름으로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졌다. 봉업사는 고려 태조의 진영을 봉안한 사원으로 중창 이후 고려시대 전반에 걸쳐 번성하다가 조선 전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고려 제4대 광종 때 중창된 봉업사 터.
원건물 건립 경위

봉업사지는 과거 ‘죽산리사지’로 알려져 있었으나 1966년 오층 석탑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의 명문을 통해 봉업사(奉業寺) 터임이 확인되었다. 『고려사』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남천(南遷)하였다가 환도할 때 죽주(竹州, 현재 죽산)에 이르러 봉업사에서 태조의 진영(眞影)을 알현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태조의 진전사원(眞殿寺院)이었음을 알 수 있다. 봉업사에 관한 기록은 고려 후기에 처음으로 나타나지만, 발굴 조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에 화차사(華次寺)라는 사찰이 있었으며 고려 광종 대에 봉업사라는 이름으로 대대적인 중창(重創)이 이루어져 고려시대 전반에 걸쳐 번성하였고 조선 전기에 폐사된 것으로 여겨진다.

역사적 연원 및 관련 사항

봉업사는 신라 말 고려 초 때 죽주 지역의 토착 세력인 박기오(朴奇悟) 등 죽산 박씨 뿐만 아니라 후삼국시대의 대표적인 호족이자 태봉과 고려의 건국자인 기훤(箕萱) · 궁예(弓裔) · 왕건(王建)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운영되었다. 즉 봉업사는 이 지역의 유력한 세력이었던 기훤 · 궁예 등에 의해 자신들의 세력 확장에 이용되었고, 특히 고려 태조 왕건은 후삼국을 통일한 후 궁예의 지지 기반이었던 청주 세력을 비롯하여 이곳 죽주 지역의 호족들을 견제하고 민심을 안정시키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청주의 호족 출신으로 고려의 개국에 기여한 능달(能達)을 파견하였고, 그는 봉업사를 중심으로 불사를 일으키며 지역적 안정을 구축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광종 대에는 죽주 지역이 서원경중원경으로 통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화를 통한 개혁 정책을 수행하는 데 군사적 · 종교적인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봉업사는 태조의 진영을 봉안한 진전사원로 중창되고 국가 경영의 중심 사찰이 되었을 것이다.

발굴 경위와 결과

봉업사지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3차례, 2018년 1차례 등 모두 4차에 걸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특히 1~3차 발굴 조사에서 목탑지, 금당지, 진전지 등 건물지와 담장, 석탑 하층 기단, 범종 제작 시설 등 다수의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었다. 발굴 결과에 의하면 봉업사지의 사역은 현재 오층 석탑이 세워져 있는 곳이 중심 권역이며 이곳에서 북서쪽으로 200m 떨어진 구역,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죽산리 삼층 석탑이 위치한 구역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층 석탑 북쪽에서 통일신라시대 목탑지가 발견되었고 이곳에서 북쪽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강당지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조사되었다. 9세기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탑지는 봉업사 중창 당시 현재의 오층 석탑이 건립되면서 금당으로 중창되어 오층 석탑-추정 금당지-추정 강당지가 동일선상에 배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강당지 동쪽 구역은 생활 및 거주를 위한 공간이었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오층 석탑 북쪽 구역에서는 대부분 고려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죽산의 고구려 때 지명인 ‘개차(皆次)’명, 고려 때 지명인 ‘죽주’명, 고려 초기 청주 호족이었던 ‘능달’명 등 50여 종의 광종~ 성종 대의 명문 기와가 출토되었다. 목탑지에서는 100여 점의 소조불상 의습과 나발 편이 수습되었다.

오층 석탑에서 북서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에서는 7개소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는데 사역의 서쪽에 있으며 온돌 시설이 없는 구조와 장대석의 사용 등으로 보아 봉업사에 있었던 진전과 관련된 구역으로 추정되었다. 이 구역 건물지에서는 화차사 명이 새겨진 8~9세기의 기와와 ‘대중(大中) 8년(854)' 명 기와가 출토되어 봉업사 이전 통일신라시대에 화차사라는 사찰이 존재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함께 ‘준풍(峻豐) 4년(963)’, ‘건덕(乾德) 5년(967)’명 기와가 수습되어 광종 대에 봉업사의 연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되었다.

죽산리 삼층 석탑 주변에는 추정 금당지와 추정 중문지 등 6개의 건물지와 담장 석렬, 범종 주조 유구, 삼층 석탑 하층 기단 등이 확인되었다. 건물지 배치는 추정 중문지-삼층 석탑-추정 금당지로 이어지는 형태이며 오층 석탑 일대의 건물지 축선과 일치한다. 건물지의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고려시대로 확인되었다. 죽산리 석탑 하층 기단 하부에서 ‘태화(太和) 6년(832)’명 기와가 출토되어 현재 남아있는 석탑 이전에 탑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삼층 석탑 남쪽에는 범종의 주형(鑄型) 유구와 용해(溶解) 유구가 확인되었는데, 중창 당시 사찰 내에서 범종을 주조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발굴 조사 결과 봉업사는 통일신라시대에 화차사가 조성되어 있었고 고려 광종 대에 봉업사로 대규모 중창이 이루어지면서 오층 석탑 일대를 중심으로 죽산리 삼층 석탑이 위치한 지역까지 사역이 확대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물지는 여러 층으로 중복되거나 교란되어 있고 유물의 시기도 고려시대 전반에 걸쳐 있어 중창 이후에도 가람 배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34개소의 건물지와 범종 주조 유구, 700여 점에 달하는 명문 기와를 비롯한 다수의 기와와 막새, 청자, 중국 자기류, 불구류 등이 출토되어 사세(寺勢)가 상당했음을 보여 준다.

현황

봉업사지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비봉산(369.7m)의 동남쪽과 죽산천 사이에 형성된 평지에 자리한다. 2003년 4월 21일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절터에는 오층 석탑(보물)과 당간지주(유형문화유산) 그리고 사역 북쪽에 죽산리 삼층 석탑(유형문화유산)이 남아 있다. 봉업사지에 있다가 안성의 칠장사(七長寺)로 옮겨진 석조 여래 입상과 이곳에서 출토된 청동 북과 청동 향로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봉업사지는 문헌과 고고학 자료를 통해 고려 태조의 진영을 봉안했던 사찰터로 위상이 높았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수의 건물지와 높은 수준의 출토 유물로 보아 봉업사는 지역 토착 세력과 왕실의 후원으로 운영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봉업사지는 고려시대 불교 문화는 물론 고려 중앙 권력과 지방과의 관계, 죽산 지역의 역사적 전개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경기도박물관·안성시, 『고려왕실사찰봉업사』(2005)
경기도박물관·안성시, 『봉업사』(2002)
『고려 태조 진전사원 봉업사의 역사적 가치와 보존방안』(안성 봉업사지 발굴 20주년 국제학술대회, 안성시·한국고대학회·백산학회·한국교통대학교박물관, 2017)

인터넷자료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국가유산 지식이음 (https://portal.nrich.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