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체투지는 두 팔꿈치, 두 무릎, 이마의 5군데 인체 부위를 땅에 대고 절하는 예경 방식을 가리킨다. 오륜귀명, 오륜박지, 오륜작례, 오륜투지, 오체착지라고도 한다. 불교에서는 승려나 불보살의 상 앞에서 오체투지를 하며 참회를 하는 것이 상례였다. 이에 오체투지는 참회 수행의 일부를 이루게 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성철(性徹: 1912~1993)이 수행법으로 108배와 3000배를 강조하여 한국 불교계의 중요한 대중적 수행법의 하나가 되었다. 티베트의 성지 순례의 고행법의 하나인 3보1배는 종교를 초월하여 사회, 정치적인 항의를 표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범어로는 Pañca-maṇḍala-praṇāma, 팔리어로는 Nipaccākāra. 오체는 오륜(五輪)이라고도 한다. 오체투지는 오륜귀명(五輪歸命), 오륜박지(五輪撲地), 오륜작례(五輪作禮), 오륜투지(五輪投地), 오체착지(五體著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합장하고 몸을 구부려 두 팔꿈치와 두 무릎을 땅에 대고 이마를 땅이나 절을 받는 이의 발에 붙여 최상의 공경을 표하는 예경 방식이다.
인도에서는 예로부터 머리를 인체의 가장 고귀한 것으로 생각하고 발을 가장 천한 것으로 여겼는데, 가장 고귀한 머리를 상대의 가장 천한 발이나 땅에 붙임으로써 최상의 공경을 나타낸다.
오체투지는 불교에 고유한 예경법이 아니라 전통적으로 인도 사회에서 내려오는 인사법이다. 불교는 참회를 할 때 고참 승려나 불보살의 상 앞에서 오체투지를 하는 것이 상례이므로 오체투지는 참회 수행의 일부를 이루게 되었다.
예경 방식의 하나였던 오체투지가 수행법으로 나타난 것은 중국 양대(梁代, 507~557)에 예참문(禮懺文)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참회 수행이 발전하던 시기로 보인다. 또 참회 수행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다불신앙(多佛信仰: 과거 7불, 현재불, 미래불 내지는 천불과 만불의 명호를 부르며 참회하던 신앙)의 성립과 관련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동문선』 제 117권에 따르면 고려 중기에 천태종을 부흥시킨 요세(了世: 1163~1245)가 53불을 매일 16회씩 예경하며 참회 수행을 해서 '서참회(徐懺悔)'[서는 요세의 속성이다]라고 불렸다고 한다. 또 티베트에서는 성지 순례를 할 때 보통 3보1배를 행하고, 본격적인 밀교 수행에 들어가기 전에 실천하는 기초 수행법의 하나가 되었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雜事)』 제15권에는 불교의 바른 예경 방식 두 가지를 밝히고 있다. 하나는 장궤좌(長跪坐: 양 무릎을 붙여 바닥에 대고 허리를 곧추세워 앉는 법. 호궤좌라고도 한다)이고, 다음은 오체투지인데 둘 다 입으로 소리 내어 예경을 표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지도론』 제10권에는 불교의 예경방식을 상중하로 나누어 장궤좌의 예경 방식들 중 오체투지를 상이라 하여 오체투지를 불교 최고의 예경 방식으로 인정하고 있다.
오체투지는 먼저 가슴 쪽에 손바닥을 마주 대어 합장하고 몸을 구부려 무릎을 구부린다. 다음으로 양 손을 바닥에 댄 후 상체를 숙여 이마를 땅이나 예경 받는 사람의 발에 대는 접족례(接足禮)를 행한 후 반대 순서로 몸을 일으키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한중일 3국의 오체투지의 방식은 대개 이와 같은 것이지만, 티베트의 경우는 접족례를 행할 때 몸을 완전히 뻗어서 신체의 앞면을 모두 땅에 붙이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불교가 한국에서 주도적 지위를 상실한 조선 시대 이후 오체투지는 여성 불교 신자들의 멸업참회의 방편으로 주로 수행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대한불교 조계종의 전 종정이었던 성철(性徹: 1912~1993)이 자만심을 내려놓는 수행법으로 108배와 3000배를 강조하여 오늘 날 한국불교계의 중요한 대중적 수행법의 하나가 되었다.
티베트의 성지 순례의 고행법의 하나인 3보1배는 최근 국내에서 종교를 초월하여 사회, 정치적인 항의를 표시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또 오체투지의 굴신 행위는 체력 향상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비불교인들에게도 대중적인 건강법으로서 소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전통적인 오체투지의 방법에 건강을 위한 약간의 변형이 가미되어 실천되고 있다.
인도 전통의 예경법에서 시작하여 불교의 역사를 통해 참회 수행법으로 정착하고, 최근에는 사회, 정치적인 항의 방식으로 실천되며, 건강을 위한 운동법으로 까지 변천한 오체투지는 일정 종교의 사회적 의례나 방식이 그 종교나 사회 내에서 다양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