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인심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중국 선종에서 수행자가 경전의 매개 없이 마음을 가리켜 단박에 성불하게 된다는 불교교리.
목차
정의
중국 선종에서 수행자가 경전의 매개 없이 마음을 가리켜 단박에 성불하게 된다는 불교교리.
개설

불교는 전통적으로 경(經) · 율(律) · 론(論)의 삼장(三藏)에 의거하여 가르침을 전승해왔지만, 중국의 선종은 경전적 가르침에 의거하지 않고 불교의 핵심인 마음을 곧장 가리켜 성불하는 가르침을 표방하였다. 이것이 바로 사람의 마음을 곧장 가리킨다는 뜻의 직지인심(直指人心)이다. 그러므로 직지인심은 선종을 여타의 불교 종파와 구분 짓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직지인심은 주1, 주2 등의 용어와 연관되어 사용된다. 경전의 매개 없이 곧장 사람의 마음을 가리키므로, 수행자는 자신의 마음의 본성을 보고 단박에 성불하게 된다는 것이다.

내용

직지(直指)의 대상이 되는 인심(人心)의 정체에 대해 당(唐)의 선사였던 종밀(宗密: 주3은 두 가지 종파의 주장을 제시하였다. 종밀에 따르면 직지인심의 가르침이야말로 주4 이래의 선종의 정통성을 지닌다. 여기에는 하택신회(荷澤神會: 684-758)의 하택종(荷澤宗)과 마조도일(馬祖道一: 주5의 홍주종(洪州宗)의 두 종파가 속해 있다.

먼저 하택종에서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공적진심(空寂眞心)이 바로 마음의 정체라고 설명하였다. 이 마음은 현상적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존재하는 보편적인 것이라는 데 중점이 있다. 반면 홍주종에서는 인간이 일상에서 말하고 움직이고 화내는 것 등의 구체적인 활동으로 전개되는 것이 바로 마음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마음은 현실 세계에서 활동하는 구체적인 것이라는 점에 중점이 있다.

중국 선종은 후대로 갈수록 마조 계통의 선사들이 주류를 이룬다. 이로 인해 직지의 대상이 되는 마음의 정체에 대해서도 마조 계통의 선에서 주장한 주6이 강조되었다. 즉심즉불은 인간의 마음 그대로가 바로 부처라는 주장이다. 다시 말해 직지의 대상이 되는 마음은 일상을 벗어나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일상의 작용 가운데 환하게 드러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사상적 관점 아래 선종은 일상성(日常性)과 구체성을 강조하는 흐름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당의 선사들이 일상적 대화를 통해 제자들의 마음을 깨닫게 하려는 모습 속에서 잘 찾아질 수 있다. 이들 스승과 제자의 대화는 송나라 이후 수행의 도구인 화두(話頭)로 정착되었고, 이 화두를 참구하여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간화선(看話禪)이 선종의 주류를 이루게 된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선종은 대개 중국 선종의 발전 추세에 맞추어 전개되었다. 신라 말의 도의(道義)가 당에서 마조도일의 제자인 서당지장(西堂智藏)에게 가르침을 받고 돌아와 가지산문(迦智山門)을 일으키는 등 직지인심을 주장하는 마조 계통의 선종은 우리나라에 적극 수용되었다. 고려의 백운경한(白雲景閑)『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편찬하는데, 이 책 역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과 같은 선종 문헌에서 마음을 곧장 가리키는 내용들을 초록한 것이다. 이후 간화선을 위주로 전개된 조선의 선종에서도 직지인심이 중시되었다.

참고문헌

『 마조어록(馬祖語錄)』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직지인심(直指人心)의 선법(禪法)」(김영욱, 『가산학보(伽山學報)』 제5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주석
주1

자기 본래의 성품인 자성을 깨달아 부처가 됨. 우리말샘

주2

갑자기 깨달음. 우리말샘

주3

중국 당나라의 승려(780~840). 화엄종의 제5조로 규봉 대사(圭峯大師)라 칭하였다. 교선 일치(敎禪一致)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저서에 ≪원인론(原人論)≫, ≪원각경소(圓覺經疏)≫, ≪우란분경소(盂蘭盆經疏)≫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남북조 시대의 양나라 승려(?~534?). 중국 선종의 시조로, 반야다라에게 불법을 배워 대승선(大乘禪)을 제창하였다. 우리말샘

주5

중국 당나라의 선승(709~788). 남종선(南宗禪) 발전에 공이 크며, 평상심(平常心)이 곧 도라고 주창하여 생활 속의 선(禪)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저서에 ≪어록(語錄)≫ 1권이 있다. 우리말샘

주6

사람은 번뇌로 말미암아 마음이 더러워지나 본성은 불성(佛性)이어서 중생의 마음이 곧 부처의 마음이나 마찬가지임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