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법연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

불교
문헌
문화재
1484년(성종 15)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불교 경전.
이칭
약칭
법연사 부모은중경, 법연사 은중경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84년(성종 15)
저자
구마라집(鳩摩羅什)
권책수
1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법연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8년 4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황매산 공원길 62-1 법연사
내용 요약

합천(陜川) 법연사(法然寺)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1484년(성종 15)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불교 경전이다. 간행 기록과 화암사라는 간행 장소를 밝히고 있으며, 상세한 기록들이 남아 있는 귀중본이다. 이 불경은 부모의 은혜를 중히 여기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들어 있는 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381년(우왕 7)본을 비롯하여 고려 말 조선 초에 많이 간행되었는데, 같은 경의 다른 판본으로 내용은 같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4월 2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484년(성종 15)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에서 간행한 목판본 불교 경전.
저자 및 편자

요진(姚秦)의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4)이 한역(漢譯)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합천 법연사 도서에는 저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서지사항

합천 법연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1권 1책의 선장(線裝)으로 된 목판본이다. 이 경은 22장(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은 12행 15자(14행 15자도 다수 들어 있음)씩 들어 있는 세로 28.8㎝, 가로 17.2㎝ 크기이다. 지질은 주1이며, 불경 내용을 표현한 주2의 도상(圖像)이 같이 들어 있다.

이 법연사 도서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단행본이지만, 원각사본은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에 이어 합본되어 있어서, 원래 합본이었던 것이 분리 유통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합본된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의 주3에 의하면 이 판본은 1484년(성종 15) 전라도 고산현(高山縣) 화암사(花岩寺) 목판본이다. 주부(主簿) 유○성(兪○成), 안인 유씨(安人 兪氏) 유증순(兪增舜) 등 37인의 시주자가 있고, 화주로 학경(學冏), 요경(了冏)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이 경은 조선시대 효(孝)를 중시하는 가운데, 불교에서도 부모에 대한 효를 깨우치는 경전으로 간행되어, 다수의 판본이 남아 있다.

구성과 내용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중국에서 불교를 전파하기 위해 중국 전통 사상인 유교 사상의 효 사상을 수용하여 편찬된 일종의 위경(僞經)[또는 의경(疑經)]이다. 고려 1378년(우왕 4) 목판본(보물로 지정)부터 많은 판본이 전해지고 있다.

보물로 지정된 『불설대보부모은중경』에는 구마라집이 봉조역(奉詔譯)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대부분은 화암사본과 같이 역자가 없다. 이 경은 부모의 은혜가 매우 크다는 것을 스스로 깨달아서 효심을 내도록 하는데, 불교의 업과 윤회 사상을 배경으로 부모에게 효도해야만 하는 까닭을 설명하고 있다.

경의 구성은 서분에서 이경을 설하는 인연으로 마른 뼈의 가르침을 설하고, 정존분에서는 어머니가 자식을 잉태하여 낳고 길러 준 열 가지 은혜로 설하고[第一懷耽守護恩- 第十究竟憐愍恩], 이어서 부모께 은혜 갚기 어려움을 여덟 가지로 설하고, 불효를 하면 오역죄와 같이 과보가 막중함을 밝혀서 보은을 실천하도록 하였다. 유통분에서는 천용팔부와 소왕 등 대중들이 부처님 말씀을 실천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경상남도 합천 법연사 도서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1484년(성종 15)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 간행본으로, 시주자 및 화주 등의 간행 기록이 뚜렷하게 남아 있는 귀중본이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4월 2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경상남도 합천군 법연사 도서)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도서)

단행본

백제불교사상연구회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부모의 은 갑난 경이라』(백제불교, 2005)
권상로, 강무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목련경·보덕각씨』(대흥기획, 1991)
이일영 편역, 『불설대보부모은중경』(선문출판사, 1988)

논문

김기엽, 「판본의 이문을 통해 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의 문헌학적 특징- 용주사 판본을 중심으로」(『한문학논집』 58, 근역한문학회, 2021)
석혜영, 「14세기 간행의 한·일 『불설대보부모은중경』 판화본 연구」(『동아시아불교문화』 35,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박문열, 김동환, 「고려본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의 교감에 관한 연구」(『서지학연구』 37, 한국서지학회, 2007)

인터넷 자료

동국대학교 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기타 자료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추가 지정)을 위한 행정예고, 「합천 법연사 불설배보부모은중경」(경상남도공고 제2018-138호)
「제3회 동산문화재분과회의록」 '7. 합천 법연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도문화재 지정 신청'(2017년도 문화재위원회, 2017. 3. 6)
주석
주1

닥나무의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이.    우리말샘

주2

경전의 내용이나 교리, 부처의 생애 따위를 형상화한 그림.    우리말샘

주3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집필자
이기운(동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