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신흥사 대혜보각선사서 ( )

불교
문헌
문화재
1387년(우왕 13) 간행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박물관에 있는 송대 대혜보각선사의 편지 모음집.
이칭
이칭
서장(書狀), 대혜서장(大慧書狀)
문헌/고서
편찬 시기
고려 후기
간행 시기
1387년(우왕 13)
저자
대혜종고(大慧宗杲)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판본
목판본
표제
서장(書狀)
소장처
창녕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5년 1월 15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녕군 창밀로 34 (창녕읍) 창녕박물관
내용 요약

창녕(昌寧) 신흥사(新興寺)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1387년(우왕 13) 간행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박물관에 있는 송대 대혜보각선사의 편지 모음집이다. 『대혜보각선사서』는 대혜보각선사가 주변 사람들의 편지에 대하여 간화선법에 바탕을 두고 그 요지를 설명한 모음집이다. 1387년 이색의 발문이 있어 고려 후기에 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1월 15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387년(우왕 13) 간행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박물관에 있는 송대 대혜보각선사의 편지 모음집.
저자 및 편자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1163)의 편지글을 제자인 설봉혜연(雪峰慧然)이 모으고, 정지거사(淨智居士) 황문창(黃文昌, 1128-1165)이 거듭 엮은 것이다. 대혜종고의 호는 대혜, 시호는 보각(普覺)이다. 간화선(看話禪)을 제창하여 주1조사선(祖師禪)을 크게 부흥시킨 선승(禪僧)이다. 그의 제자로 밝혀진 인물만 약 97명에 이르며 우리나라와 일본의 선불교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친 당시 사상계의 거목이다.

서지사항

장정은 오침안(五針眼)의 주2이며 목판본(木板本)으로, 표지의 제첨(題簽)에는 ‘서장(書狀)’이라 묵서되어 있다. 권수제(卷首題)는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이며, 다음 행에 ‘참학혜연록(參學慧然錄)’과 ‘정지거사황문창중편(淨智居士黃文昌重編)’의 편자 표시가 있다.

판식(版式)은 사주단변(四周單變)에,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 17.0㎝, 가로 12.6㎝이며, 계선 없이[無界] 10행(行) 18자(字)가 배열되어 있다. 판심(版心)은 상하백구(上下白口)에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이고, 주3는 ‘서(書)’이다. 지질(紙質)은 주4이며, 장수는 전체 138장(張)이고, 책 크기는 세로 24.5㎝, 가로 18.1㎝이다.

책 상태는 각 장마다 상하단에 수침(水沈)의 흔적이 있고, 1장부터 12장, 마지막 장이 훼손되어 주5한 것이 확인된다. 배접된 9장은 훼손된 하단 부분에 주6로 내용을 보충하였다. 개장하면서 책의 상하(上下)단이 절단된 것으로 확인된다.

본문에는 묵서로 약체 주7을 표시했고, 주8 기록에 "홍무이십년정묘…이색발(洪武二十年丁卯…李穡跋)"이라 판각되어 1387년(우왕 13)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이 발문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대혜보각선사서』는 송나라 대혜보각선사와 명사(名士) 42명이 주고받은 편지 모음집으로, 주9의 올바른 이해를 확립하기 위하여 간화선법(看話禪法)을 주장한 것이다.

대혜의 간화선에는 당시 선사들이 언어와 문자에 얽매이고 관념에만 빠져 있던 상황에서 선의 본래 목적을 부흥시키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서명(書名)을 줄여서 ‘대혜서장(大慧書狀)’ 또는 ‘서장(書狀)’ 등으로 이칭되며 주로 ‘서장’이라 한다.

『서장』은 대혜가 죽은 후 1166년(건도 2) 8월 제자들이 편지글을 엮어 경산 묘희암(妙喜菴)에서 간행되었다. 고려시대에 전해져 보조국사 지눌이 간화선을 지도하는 지침서로 학승들에게 널리 읽히게 되었다. 불교 주10주11 과정에서 배우는 과목 중 하나로 조선시대에 많은 전적들이 간행되었다.

초간본(初刊本)의 권말(卷末)에는 “건도이년세차병술(乾道二年歲次丙戌)(1166)팔월칙사경산묘희암간행(八月勅賜徑山妙喜庵刊行)”의 주12가 있으며, 이 간기는 남송(南宋)과 원(元)을 비롯한 중국 및 국내에 간행된 판본에 그대로 판각된다.

창녕 신흥사 도서 『대혜보각선사서』는 1387년(우왕 13) 간행본으로, 1166년(건도 2) 초간본 간기와 한산부원군 이색의 발문이 있다. 이색의 발문에 의하면 지담(志淡)과 각전(覺全)이 책을 널리 전하여 후학들에게 혜택을 주고자 간행하였으며, 『법보단경』을 스승으로 삼고, 『서장』을 벗으로 삼도록 하라는 지눌의 말을 빌려 편찬 및 간행 경위를 말하였다.

현존하는 1387년 판본은 국립중앙박물관 도서로 있고, 이색의 발문, 임금을 위한 발원문, 간행에 참여한 시주질(施主秩)에 인명이 확인된다. 이 판본은 초간본인 중국 경산 묘희사본과 행자수와 어미가 같은 11행 20자의 무어미(無魚尾)본이다.

이후 조선에서는 27회의 간행이 확인되며, 이 중 11행 20자 무어미본은 1418년, 1546년(석두사본) 2종의 판본만 확인된다.

창녕 신흥사 도서 『대혜보각선사서』는 10행 18자로, 임진왜란 이전 10행 18자 상하내향흑어미 판본은 1573년(선조 6) 평안 영변 보윤암(普潤庵)본과 1574년(선조 7) 황해 문화 월정사(月精寺)에서 간행한 판본이 현존하고 있다.

구성과 내용

『대혜보각선사서』는 사대부 39명, 여성 l명, 승려 2명의 42명에게 보낸 편지 모음 62편으로 『대혜보각선사어록』(전 30권)의 권25~30에도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수행에 게으르지 않도록 격려하며 수행 방법, 불교 경전의 의미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창녕 신흥사 도서 『대혜보각선사서』는 1387년 이색의 발문이 있어 고려 후기에 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1월 15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경상남도 창녕군 신흥사 도서)

논문

박진호, 「영남대 소장 구결 자료 『대혜보각선사서』에 대하여」(『민족문화논총』 48, 2011)
오용섭, 「영광불갑사 강원교재 불서연구」(『서지학보』 35, 2010)
배현숙, 「대혜보각선사서 이본고」(『서지학연구』 5·6, 1990)

인터넷자료

경남관광 길잡이(https://tour.gyeongnam.go.kr/)
문화재청(https://www.cha.go.kr/)
주석
주1

중국 당나라 때 임제의 종지(宗旨)를 근본으로 하여 일어난 종파.    우리말샘

주2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책의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는,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    우리말샘

주3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4

닥나무의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이.    우리말샘

주5

종이, 헝겊 또는 얇은 널조각 따위를 여러 겹 포개어 붙임.    우리말샘

주6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7

한문을 읽을 때 그 뜻이나 독송(讀誦)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쓰던 문법적 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隱(은, 는)’, ‘伊(이)’ 따위와 같이 한자를 쓰기도 하였지만, ‘亻(伊의 한 부)’, ‘厂(厓의 한 부)’ 따위와 같이 한자의 일부를 떼어 쓰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8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9

공안을 공부함으로써 진리를 깨닫고자 하는 선(禪).    우리말샘

주10

경(經)과 논(論)을 연구하고 학습하는 곳. 재래식 불교 학교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1

사미과를 마친 학인이 사집(四集)을 배우는 과정.    우리말샘

주12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집필자
최애리(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