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방언 ()

언어·문자
개념
황해도에서 쓰이는 방언. 황해방언.
이칭
이칭
황해방언
내용 요약

황해도방언은 황해도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황해도는 평안도와 경기도 사이에 위치하여 이 방언은 다른 방언들의 특징을 공유한다. 황해도의 북부 황주·수안 등은 평안도방언이, 남부의 금천·연백은 경기도방언이 드러난다. 동부의 신계·곡산에서도 일부 이 방언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서북부 지역은 황해도만의 독자적인 방언 특징을 보인다. 중세국어의 이중모음 ‘ㆎ, ㅢ’이 서북부에서 ‘ㅔ’로 변한 것은 이 방언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청자존대법 종결어미에서도 다른 지역과는 다른 이 방언의 특징이 드러난다.

정의
황해도에서 쓰이는 방언. 황해방언.
개설

황해도는 평안도와 경기도 사이에 위치하는 까닭에 이 지역 방언은 전이방언권(轉移方言圈)의 성격을 지닌다. 도의 서북부 지역은 황해도만의 독자적인 방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북부의 황주 · 수안 등은 평안도 방언의 특징이, 남부의 금천 · 연백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이 현저하며, 동부의 신계 · 곡산은 일부 함경도 방언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북으로는 대동강, 동으로는 낭림산맥, 남으로는 멸악산맥이 이러한 방언 분화에 영향을 주었다.

음운 특징

노년층은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ㅚ’ 9모음체계이나 ‘ㅚ’는 원순성이 미약하거나 또는 ‘ㅔ’로 변화하였다. ‘위’는 이중모음 [wi]로 실현된다. 비노년층은 주1 ‘ㅡ’와 ‘ㅜ’, ‘ㅓ’와 ‘ㅗ’의 대립이 약화된 상태로 인접한 평안도 방언과 같다. 그리고 ‘ㅡ>ㅓ’의 변화도 두드러진다. 한편, 중세국어 시기의 이중모음 ‘ㆎ’ ‘ㅢ’는 이 방언의 서북부에서 ‘ㅔ’로 변화하였다. 예: 모게(모기), 조게(조기), 도께(도끼), 나베(나비), 거메(거미), 글페(글피). 이 변화는 서북부에서 시작되어 동부로 확산되었다. 반면, 황주를 비롯한 북부 지역에서는 평안도 방언의 ‘모구, 조구, 도꾸 …’와 같이 ‘ㅜ’로 변화하고 남부 지역에서는 경기도 방언과 같이 ‘ㅣ’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ㆎ, ㅢ>ㅔ’는 황해도 방언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가 된다.

이처럼 황해도 서부 지역은 대체로 황해도 내의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변화를 보여 준다. 그리고 ‘새[鳥]’ ‘매[鷹]’ ‘개[犬]’ ‘게[蟹]’는 각각 ‘사:이’ ‘마:이’ ‘가:이’ ‘거:이’라 하는데 이들은 중세국어에서 상성의 성조를 가졌던 단어들이다. 또 냉이>얭이, 뱀:>뱜:, 색:시>샥:시, 생:쥐>샹:쥐, 밸:[腸]>뱔:, 낼:>냘:(내일)에서 보듯 ‘ㅐ>ㅑ’의 변화도 한 특징이다. 자음 중 ‘ㅈ’은 남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평안도 방언처럼 주2으로 조음된다. 그러나 평안도 방언과 달리 이 방언에서는 ㄷ 구개음화, ㅎ구개음화가 이루어졌다.

황해도는 소리의 장단에 의해 뜻이 구별되는 음장 지역이지만 음장이 없는 지역도 산재한다. 한편, 용언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서는 대체로 모음조화가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어간 모음이 ‘ㅏ, ㅗ, ㅐ’일 때에는 ‘-아’가 연결되고 ‘ㅡ, ㅜ, ㅓ, ㅣ’일 때에는 ‘-어’가 연결된다. 예: 자바서(잡-아서), 고와서(곱-아서), 매와서(맵-아서), 배와서(배우-아서), 바꽈서(바꾸-아서).

문법 특징

용언의 활용은 표준어와 같다. 그러나 ‘듣다[聞]’는 드더서(들어서), 드드니(들으니)와 같이 규칙 활용을 한다. 평안도 방언과 같다. 추측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갓-’, 과거시제의 선어말어미 ‘-앗-/-엇-’이 남부의 일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쓰인다. 예: 내 하갓어[하가서]!(내가 하겠어), 누구라 왓어[와서]?(누가 왔어?). 또 과거완료를 나타내는 ‘-댓-’과 과거지속을 나타내는 ‘-드랫-’이 쓰인다.

청자존대법 종결어미는 평안 · 함경 · 경기도와는 다른 점이 많다. 서술법 존대 어미로는 ‘-시다, -쉬다, -쉐다’, ‘-외다’ 또는 ‘-읍네다/-습네다’(북부 지역)가 있다. 예: 하갓시다, 햇시다. 햇습네다/합네다. 평대 어미로는 ‘-오(우)’ ‘-지’가 있고 하대 어미로는 ‘-ㄴ다’ ‘-다’가 있다. 의문법 존대 어미로는 ‘-시꺄, -쉬꺄’ ‘-시니꺄?’ ‘-오리꺄’ ‘-ㄹ납니꺄’가 있고 평대 어미로는 ‘-ㄹ나오’ ‘-ㄹ나나’ ‘-나’가 있으며, 하대 어미로는 ‘-냐’ ‘-니’ ‘-누’ ‘-가이’가 있다. ‘-꺄’는 경기 북부와 강화도에서도 쓰인다. 그리고 장연 · 은율에서는 ‘-꺄’와 ‘-꽈’가 함께 쓰인다. 또 현재의 사실을 확인할 때 쓰이는 종결어미 ‘-가’도 특이한 어미 중의 하나다. 예: 그거이 뭐:가?(그것이 무엇인가?), 이게 책이가?(이것이 책인가?)

어휘 특징

친족 호칭어는 평안도 방언과 가깝다. ‘할아버지’는 ‘하라바이, 하라뱜, 하나뱜’, ‘할머니’는 ‘할마이, 할먐, 한냠’이라 하며 ‘아버지’는 ‘아바지, 아바이’, ‘어머니’는 ‘옴마이, 오마이, 어머이’라 한다. ‘큰아버지/큰어머니’는 ‘큰아바이/큰옴마이, 큰오마이’라 하며 ‘작은아버지/작은어머니’는 ‘삼춘, 작은아바이/작은옴마이’라 한다. ‘고모’는 ‘고무’, ‘아주머이, 아지미’(아버지의 여자 동생)라 하고 ‘이모’는 ‘이모’라 하지만 북부의 황주 · 곡산 · 수안에서는어머니의 언니는 ‘큰오마니’라 하고 동생은 ‘작은오마니’라 한다.

‘고모부/이모부’는 서부와 중부에서는 ‘작숙’, 남부와 동부에서는 ‘고모부/이모부’라 한다. 또 장인은 ‘가시아바이’, 장모는 ‘가시옴마이’라 한다. 이 밖에 이 방언에서 흔히 쓰이는 어휘로는 ‘고매하다’(고마워하다), 고매굴다(고맙게 대해 주다), ‘톰발리’(빨리), ‘망(맷돌)’, ‘모다귀, 모다구(못)’, ‘걈살(개암)’, ‘멱자귀(개구리)’, ‘찔게(반찬)’, ‘당추(고추)’, ‘에딸’(모녀), ‘집난이’(시집간 딸), ‘장잘귀, 안질뱅이’(잠자리), ‘낭와국’(손칼국수) 등이 있다.

참고문헌

『황해도 방언연구』(황대화, 한국문화사, 2007)
『朝鮮語方言의 硏究』(上: 資料篇, 下: 硏究篇)(小倉進平, 東京: 岩波書店, 1944)
「황해도 방언」(곽충구, 『방언학사전』, 태학사, 2001)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친족명칭의 지리적 분화와 그 역사성」(곽충구, 『대동문화연구』 30,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황해도 방언의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곽충구, 『남북한의 방언 연구』, 경운출판사, 1992)
「황해도 지역 방언 연구─음운체계를 중심으로」(김영배, 『국어국문학 논문집』 11, 동국대학교, 1980: 『평안방언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주석
주1

혀의 정점이 입안의 뒤쪽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 ‘ㅜ’, ‘ㅗ’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혀끝을 윗잇몸에 대거나 접근하여 내는 소리. 현대 국어에서 ‘ㄷ’, ‘ㄸ’, ‘ㅌ’, ‘ㅅ’, ‘ㅆ’, ‘ㄴ’, ‘ㄹ’을 이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