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방언은 황해도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황해도는 평안도와 경기도 사이에 위치하여 이 방언은 다른 방언들의 특징을 공유한다. 황해도의 북부 황주·수안 등은 평안도방언이, 남부의 금천·연백은 경기도방언이 드러난다. 동부의 신계·곡산에서도 일부 이 방언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서북부 지역은 황해도만의 독자적인 방언 특징을 보인다. 중세국어의 이중모음 ‘ㆎ, ㅢ’이 서북부에서 ‘ㅔ’로 변한 것은 이 방언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청자존대법 종결어미에서도 다른 지역과는 다른 이 방언의 특징이 드러난다.
노년층은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 ㅚ’ 9모음체계이나 ‘ㅚ’는 원순성이 미약하거나 또는 ‘ㅔ’로 변화하였다. ‘위’는 이중모음 [wi]로 실현된다. 비노년층은 후설모음 ‘ㅡ’와 ‘ㅜ’, ‘ㅓ’와 ‘ㅗ’의 대립이 약화된 상태로 인접한 평안도 방언과 같다. 그리고 ‘ㅡ>ㅓ’의 변화도 두드러진다. 한편, 중세국어 시기의 이중모음 ‘ㆎ’ ‘ㅢ’는 이 방언의 서북부에서 ‘ㅔ’로 변화하였다. 예: 모게(모기), 조게(조기), 도께(도끼), 나베(나비), 거메(거미), 글페(글피). 이 변화는 서북부에서 시작되어 동부로 확산되었다. 반면, 황주를 비롯한 북부 지역에서는 평안도 방언의 ‘모구, 조구, 도꾸 …’와 같이 ‘ㅜ’로 변화하고 남부 지역에서는 경기도 방언과 같이 ‘ㅣ’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ㆎ, ㅢ>ㅔ’는 황해도 방언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가 된다.
이처럼 황해도 서부 지역은 대체로 황해도 내의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변화를 보여 준다. 그리고 ‘새[鳥]’ ‘매[鷹]’ ‘개[犬]’ ‘게[蟹]’는 각각 ‘사:이’ ‘마:이’ ‘가:이’ ‘거:이’라 하는데 이들은 중세국어에서 상성의 성조를 가졌던 단어들이다. 또 냉이>얭이, 뱀:>뱜:, 색:시>샥:시, 생:쥐>샹:쥐, 밸:[腸]>뱔:, 낼:>냘:(내일)에서 보듯 ‘ㅐ>ㅑ’의 변화도 한 특징이다. 자음 중 ‘ㅈ’은 남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평안도 방언처럼 치조음으로 조음된다. 그러나 평안도 방언과 달리 이 방언에서는 ㄷ 구개음화, ㅎ구개음화가 이루어졌다.
황해도는 소리의 장단에 의해 뜻이 구별되는 음장 지역이지만 음장이 없는 지역도 산재한다. 한편, 용언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서는 대체로 모음조화가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어간 모음이 ‘ㅏ, ㅗ, ㅐ’일 때에는 ‘-아’가 연결되고 ‘ㅡ, ㅜ, ㅓ, ㅣ’일 때에는 ‘-어’가 연결된다. 예: 자바서(잡-아서), 고와서(곱-아서), 매와서(맵-아서), 배와서(배우-아서), 바꽈서(바꾸-아서).
용언의 활용은 표준어와 같다. 그러나 ‘듣다[聞]’는 드더서(들어서), 드드니(들으니)와 같이 규칙 활용을 한다. 평안도 방언과 같다. 추측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갓-’, 과거시제의 선어말어미 ‘-앗-/-엇-’이 남부의 일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쓰인다. 예: 내 하갓어[하가서]!(내가 하겠어), 누구라 왓어[와서]?(누가 왔어?). 또 과거완료를 나타내는 ‘-댓-’과 과거지속을 나타내는 ‘-드랫-’이 쓰인다.
청자존대법 종결어미는 평안 · 함경 · 경기도와는 다른 점이 많다. 서술법 존대 어미로는 ‘-시다, -쉬다, -쉐다’, ‘-외다’ 또는 ‘-읍네다/-습네다’(북부 지역)가 있다. 예: 하갓시다, 햇시다. 햇습네다/합네다. 평대 어미로는 ‘-오(우)’ ‘-지’가 있고 하대 어미로는 ‘-ㄴ다’ ‘-다’가 있다. 의문법 존대 어미로는 ‘-시꺄, -쉬꺄’ ‘-시니꺄?’ ‘-오리꺄’ ‘-ㄹ납니꺄’가 있고 평대 어미로는 ‘-ㄹ나오’ ‘-ㄹ나나’ ‘-나’가 있으며, 하대 어미로는 ‘-냐’ ‘-니’ ‘-누’ ‘-가이’가 있다. ‘-꺄’는 경기 북부와 강화도에서도 쓰인다. 그리고 장연 · 은율에서는 ‘-꺄’와 ‘-꽈’가 함께 쓰인다. 또 현재의 사실을 확인할 때 쓰이는 종결어미 ‘-가’도 특이한 어미 중의 하나다. 예: 그거이 뭐:가?(그것이 무엇인가?), 이게 책이가?(이것이 책인가?)
친족 호칭어는 평안도 방언과 가깝다. ‘할아버지’는 ‘하라바이, 하라뱜, 하나뱜’, ‘할머니’는 ‘할마이, 할먐, 한냠’이라 하며 ‘아버지’는 ‘아바지, 아바이’, ‘어머니’는 ‘옴마이, 오마이, 어머이’라 한다. ‘큰아버지/큰어머니’는 ‘큰아바이/큰옴마이, 큰오마이’라 하며 ‘작은아버지/작은어머니’는 ‘삼춘, 작은아바이/작은옴마이’라 한다. ‘고모’는 ‘고무’, ‘아주머이, 아지미’(아버지의 여자 동생)라 하고 ‘이모’는 ‘이모’라 하지만 북부의 황주 · 곡산 · 수안에서는어머니의 언니는 ‘큰오마니’라 하고 동생은 ‘작은오마니’라 한다.
‘고모부/이모부’는 서부와 중부에서는 ‘작숙’, 남부와 동부에서는 ‘고모부/이모부’라 한다. 또 장인은 ‘가시아바이’, 장모는 ‘가시옴마이’라 한다. 이 밖에 이 방언에서 흔히 쓰이는 어휘로는 ‘고매하다’(고마워하다), 고매굴다(고맙게 대해 주다), ‘톰발리’(빨리), ‘망(맷돌)’, ‘모다귀, 모다구(못)’, ‘걈살(개암)’, ‘멱자귀(개구리)’, ‘찔게(반찬)’, ‘당추(고추)’, ‘에딸’(모녀), ‘집난이’(시집간 딸), ‘장잘귀, 안질뱅이’(잠자리), ‘낭와국’(손칼국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