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끼리 (우리끼리)

현대사
개념
2000년 이후 외세의 간섭 없이 민족 자체의 힘으로 통일을 이루자는 북한의 선전 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우리 민족끼리'는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조국을 자주적으로 통일하자는 것'이라는 뜻을 지닌 북한의 선전 구호이다. 북한은 2000년 6·15공동선언 합의 직후부터 이 구호와 표현을 적극 내세우기 시작했으며 남북 간 공조 및 연공(聯共)의 의미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남북관계와 통일문제 해결에서 자주적 성격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미로 쓰인다.

정의
2000년 이후 외세의 간섭 없이 민족 자체의 힘으로 통일을 이루자는 북한의 선전 구호.
개요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부 소속 조국평화통일위원회(약칭 조평통)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우리 민족끼리'는 지난 2006년 1월 1일, '2006년을 《우리 민족끼리》의 해로 더욱 빛내이자'라는 글에서 "우리 민족끼리는 민족의 운명을 그 어떤 외세의 개입이나 방조를 받음이 없이 우리 민족이 주인이 되어 서로 힘을 합쳐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우리 민족끼리는 민족문제 해결에서 외세가 아니라 민족을 중심에 놓는 철저한 주체적 립장이며, 민족문제를 민족의 요구와 리익에 맞게 그리고 민족 자체의 힘으로 해결해 나가려는 가장 올바른 립장이다."라고 덧붙여 설명하였다.

경과 및 결과

북한에서 '우리 민족끼리'라는 구호와 표현을 특히 강조하기 시작한 시점은 2000년 6 · 15남북공동선언의 발표 이후부터이다. 6 · 15남북공동선언 제1항은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이때 '우리 민족끼리'라는 구절이 들어감으로써 남과 북이 함께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6 · 15 이후 장관급회담, 이산가족 상봉, 철도 및 도로 연결, 개성공업지구 개발, 금강산관광 등 남북관계가 급진전되면서 이 같은 상황을 뒷받침하는 구호 및 이데올로기로 내세워졌다.

6 · 15공동선언이 나오기 전인 2000년 북한은 신년공동사설에서 '강성대국 건설'을 목표로 하며 '조선민족제일주의'에 입각한 '우리식 사회주의'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그러다가 6 · 15공동선언 발표 이듬해인 2001년 신년공동사설에서 "북과 남은 력사적인 북남공동선언의 정신대로 조국통일을 우리 민족끼리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평화적으로 민족대단결로 이룩해 나가야 한다."고 밝히면서 '우리 민족끼리'를 본격적으로 내세우기 시작하였다.

2002년 신년공동사설에서도 "온 민족은 '우리 민족끼리 조국을 통일하자'라는 자주통일의 구호를 더 높이 추켜 들고 모든 것을 민족 공동의 이익에 복종시키며 사대와 외세의존을 배격하고 민족공조를 실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북한에서는 '우리 민족끼리'가 김정일의 통일이념을 표상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그에 따라 이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내부적 경제난 악화와 북미 갈등의 고조로 인하여 드러난 체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방편으로 '우리 민족끼리'라는 구호를 이념화하여 나갔다.

의의와 평가

1994년 김일성 사후 김정일 후계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한 담론으로 '조선민족제일주의'를 제시하였다면 6 · 15공동선언 이후에는 '우리 민족끼리'라는 구호와 담론을 제시함으로써 김정일 시대의 남북관계 및 통일 이데올로기로 내세웠다.

참고문헌

논문

정범석, 「북한의 '우리 민족끼리' 담론 연구」(서강대 석사논문, 2006)
김군태, 「북한의 민족담론과 남북관계의 상관성: '우리 민족끼리' 이념을 중심으로」(동국대 석사논문, 2007)
집필자
김지형(서원대학교 역사교육과 )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