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열 ()

식생활
인물
우리나라 최초로 가정 대학 설립을 추진한 영양학 분야 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4년
사망 연도
2013년
본관
전주(全州)
주요 저서
식이요법|영양학|고급영양학|특수영양학|한국인의 식생활|바다의 진미|어린이의 영양, 어린이의 주생활|보다 나은 삶을 위하여
주요 경력
연세대학교 가정 대학장|대한가정학회장|한국영양학회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기열(李琦烈, 1924~2013)은 우리나라 최초로 가정 대학 설립을 추진한 영양학 분야 학자이다.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로서 영양학 분야에서 후학 양성과 함께 한국인의 식생활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를 하였다. 또한 가정학이 생활 과학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학문적 기반을 쌓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대학가정학회장, 한국영양학회장, 아시아영양학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한국인의 식생활』 등 다수의 저서를 저술하였다. 은퇴 후인 1994년에는 『보다 나은 삶을 위하여』라는 에세이집을 출간하였다.

정의
우리나라 최초로 가정 대학 설립을 추진한 영양학 분야 학자.
인적 사항

이기열(李琦烈, 1924~2013)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기열은 1943년 일본여자대학 가정과를 졸업하고 1953년부터 미국 조지아 주립 대학과 뉴욕 코넬 대학에서 영양학을 연구하였고, 1973년 연세대학교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활동

이기열은 귀국 후 1958년에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에서 생화학 강의를 하였으며 같은 대학에 가정 대학을 신설하는 일을 추진하여 1964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4년제 가정 대학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었다. 이후 초대 학장인 최이순 교수에 이어 1975년에 가정 대학 제2대 학장으로 취임하였다. 가정 대학에서 영양학을 가르치면서 영양학과 식이 요법 분야의 많은 전문 서적과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를 집필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1970년대에는 한국인의 영양섭취 불균형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정책적 대안 제시 등 식생활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또한 한국 전통음식의 우수성을 알리는 일에 열정을 보였으며 우리나라 가정학이 생활 과학으로 자리 잡기 위한 학문적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대학가정학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영양학회장과 아시아영양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이기열은 수십 년 동안 『식이요법』(수학사, 1962), 『영양학』(수학사, 1997), 『고급영양학』(신광출판사, 1973), 『특수영양학』(신광출판사, 1975) 등 영양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문 서적과 『중학가정 1』(동아출판사, 1966) 등 중등학교의 가정 교육을 의한 교과서의 집필과 개정 작업을 지속하였다. 또한 『바다의 진미』(연세대학교 출판부, 1960), 『한국인의 식생활』(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어린이의 영양, 어린이의 주생활』(연세대학교 출판부, 1977) 등의 저서와 90편 이상의 논문을 저술하였다. 이기열은 틈틈이 글쓰는 일을 즐겨하여 은퇴 후인 1994년에는 1960년부터 그때그때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은 글들을 모아 『보다 나은 삶을 위하여』(뿌리)라는 에세이집을 출간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기열, 『보다 나은 삶을 위하여』(뿌리, 1994)
한복진, 『우리 생활 100년-음식-』(현암사, 2001)

인터넷 자료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https://che.yonsei.ac.kr/che/index.do)

기타 자료

'균형 잃은 한국인의 영양섭취',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article/1301357, 1971.09.04,)
'혼분식 30% 배율 너무 높다',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article/1350139, 1973.06.1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