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기 ()

식생활
인물
일제강점기, 요리책의 저자이며 조선가요집, 조선어사전을 편찬한 재야 학자.
이칭
위관(韋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0년
사망 연도
1933년경
출생지
서울특별시
주요 저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악부(樂府)|조선어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용기(李用基, 1870~1933)는 일제강점기 요리책의 저자이며 조선가요집, 조선어사전을 편찬한 재야 학자이다. 근대 3대 요리책의 하나로 알려진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저자이며, 사라져 가는 조선시대의 가요 1,400여 편을 수집하여 수록한 『악부(樂府)』의 편찬자이자 계명구락부의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이었다.

정의
일제강점기, 요리책의 저자이며 조선가요집, 조선어사전을 편찬한 재야 학자.
인적사항

이용기(李用基, 1870~1933)의 호는 위관(韋觀)이다. 서울 토박이로 말년에는 사직동에서 살았으며 사망 연도는 1933년경으로만 알려져 있다. 젊어서부터 풍류를 좋아하여 기녀들을 상대로 시가(詩歌)를 화답하는 풍류객이었으나 깨끗한 선비의 기질을 갖춘 인물이었다. 가난했지만 친구들을 좋아하였으며, 최남선, 권상로, 이은상 등과 교류하였다. 그는 전형적인 이야기꾼이었으며, 시정 풍속에 밝았고 장난을 좋아하는 유쾌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활동

이용기는 1924년에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영창서관에서 출판하였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실학자인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정조지(鼎俎志)」를 바탕으로 당시의 음식 조리법을 추가하였으며, 조선요리 이외에도 서양요리, 일본요리, 중국요리를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전통 조리법과 현대 조리법을 잇는 조리서로서, 우리나라 조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근대 3대 요리서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이 책에는 총 63영역 790여 종의 음식 조리법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이 책은 우리나라 최초로 표지 그림에 칼라 도판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용기는 조선의 노래를 수집하여 방대한 분량의 가요집인 『악부(樂府)』를 편찬하였는데, 여기에는 시조 1,036수, 가사 174수, 창가가사 3수, 잡가 66수, 민요 137수, 소설 3편, 한시문 17수, 기타 18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이용기는 계명구락부에서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노산 이은상(1903~1982)을 만나 사전 편찬 작업에 동참하였다. 그의 역할은 시정어 채집으로, ‘속담과 은어’ 등의 살아 있는 언어를 수집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용기는 ‘조선의 음식’, ‘조선의 가요’, ‘조선의 말’이라는 ‘조선 고유의 것’의 가치를 발견하고 그 가치를 드러내는 일에 일생을 바쳤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이용기는 약 10년여에 걸쳐 1,400편이 넘는 조선시대 가요를 수집하여 상 · 하 두 권으로 된 『(고대본)악부』를 편찬하였다. 국립국악원의 전신 기관인 이왕직(李王職) 아악부(雅樂部)는 이 책을 참고하여 1934년에 『아악부 가집』을 출간하였다. 1924년에는 근대 초 저술된 요리책 중 가장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조선무쌍신구요리제법』을 출판하였다. 이 책은 오늘날의 요리연구가들에게도 여전히 인기를 누리고 있는 요리책이다. 또한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가 간행한 조선어사전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한식재단, 『(한식문화총서 3) 근대 한식의 풍경』(한림출판사, 2014)

논문

권혜정, 「조선 후기 규원가류 가사의 문학교육적 의미 탐색-이용기 편 『(고대본)악부』 소재 〈규원가〉 이본을 중심으로-」(『문학교육학』 62,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신경숙, 「위관 이용기의 저술 활동과 조선적인 것의 추구」(『어문논집』 62, 민족어문학회, 2010)

인터넷 자료

EBS 역사채널e 「세 권의 책」(https://www.ebs.co.kr/tv/show?prodId=10000&lectId=1014483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