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심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고서에서 책장의 접힌 중앙부.
이칭
이칭
판구(版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판심은 고서에서 글자가 인쇄된 면을 바깥으로 향하도록 책장을 절반으로 접었을 때, 접힌 중앙부를 일컫는 용어이다. 문헌에 따라서는 이 부분을 판구(版口)라고 일컫기도 한다. 특히 판심의 정중(正中), 즉 둘로 접은[二折] 절선(折線)을 중봉(中縫)이라 지칭하는데 중봉은 묵선을 그어 구체적으로 표시한 것이 아니라, 접음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생기는 선이다. 판심에는 중봉뿐만 아니라 어미(魚尾), 흑구(黑口), 판심제(版心題) 등의 여러 가지 양식이 나타난다.

키워드
목차
정의
고서에서 책장의 접힌 중앙부.
내용

판심(版心)은 고서에서 글자가 인쇄된 면을 바깥으로 향하도록 책장을 절반으로 접었을 때, 접힌 중앙부를 일컫는 용어이다. 판심(版心) 부분에는 ‘서명(書名), 권차(卷次), 장차(張次)’ 등이 간략하게 기술된다. 판구(版口)라고도 한다. 판심을 삼단(三段)으로 구분하면, 그 중단의 상하 부분에는 어미(魚尾)가 자리한다. 그 상단과 하단 부분을 ‘상비(象鼻)’라 칭하는데, 상하의 상비 부분에 흑선(黑線) 또는 흑지(黑地)가 있으면 ‘ 흑구(黑口)’라 칭하고, 상비 부분에 흑선(黑線) 등이 없는 공백 상태이면 ‘백구(白口)’라 칭한다. 판심의 상하 어미 사이의 부분에 해당 책의 서명이 기록되는데, 이를 ‘판심제(版心題)’라고 칭한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 전통의 목판인쇄(木板印刷)는 인쇄하는 종이(책지(冊紙), 한지(韓紙))가 엷어야 하며, 먹물(묵즙(墨汁), 임즙(淋汁))로 한 면만을 인쇄하기 때문에 판본(版本)의 폭을 넓게 하였다. 그리하여 인쇄한 지면이 바깥으로 향하도록 종이를 정반(正半)으로 이절(二折)하여 접은 겹장을 한 장[一張]으로 하였다. 이렇게 이절하여 접었을 때 접힌 절선 부분을 ‘중봉(中縫)’이라 칭하고, 중봉으로 접힌 곳은 문자가 없는 여백(餘白)이어야 하기 때문에 공백(空白)을 둔 것이 곧 ‘판심(版心)’이다.

판심의 형식도 시대적으로 변천되어 왔다. 예컨대, 초기의 권자본(卷子本)은 말아서 보관하기 위하여 ‘봉(棒)’과 ‘축(軸)’이 필요했고, 첩장(帖裝, 당대(唐代))이나 호접장(胡蝶裝, 송대(宋代))은 판(版)의 중심이 안쪽에 붙어있어서 아무런 장식(裝飾)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포배장(包背裝, 원대(元代))선장(線裝, 명대(明代), 조선시대(朝鮮時代))에서는 판(版)의 중심이 바깥 측, 즉 전면으로 나오게 되었다. 이렇게 인쇄된 지면의 중간이 접히는 부분을 중봉(中縫)이라 한다.

판심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판식(板式)에서의 중앙부, 예컨대 선장본(線裝本)을 인쇄하기 위한 ‘인판 틀(우리: 광곽(匡郭), 판광(版匡))’ 안에서 좌우로 약 10행(行)씩의 계선(界線)을 마련하여 본문의 활자를 배치함으로써 글자를 새긴다. 이때, 인판 틀의 좌면(左面)과 우면(右面) 사이의 중앙부가 바로 판심 부분이 된다. 판심은 세로로 3개로 구분되는데, 그 상단과 하단 부분을 ‘판구(版口)’라 칭한다. 이들 판구는 ‘상비’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때 상하의 상비 부분에 검은 선이 새겨져 있으면 이를 흑구라 칭하는데, 이 흑구의 크기가 작으면 소흑구(小黑口)라 하고, 흑구의 면적이 크면 대흑구(大黑口)라 칭한다. 흑구가 아주 클 때에는 태흑구(太黑口)로 구별하기도 한다. 판심 중간 단의 아래위 부분에는 어미가 각각 자리 잡고 있다. ‘상어미(上魚尾)’와 ‘하어미(下魚尾)’ 사이에는 판심제와 권차가 제시된다. 이 판심제에는 일반적으로 생략 서명(省略書名)으로 기입된다. 하어미 아래의 판구에는 장차가 제시되기도 한다. 위와 같이, 판심에는 흑구와 어미, 판심제와 권차 및 장차 등이 자리 잡으면서 책의 중앙 부분을 장식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제홍규 편, 『한국서지학사전』(경인문화사, 1982)
최정태 외, 『기록관리학사전』(한울아카데미, 2005)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집필자
김성수(청주대학교 명예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