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구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판심의 아래위로 어미부터 인쇄 면의 양쪽 끝까지 중봉 부분에 그어져 있는 검은 묵선.
내용 요약

흑구(黑口)는 고서(古書)의 판심(版心)을 ‘상 · 중 · 하’의 3단(段)으로 구분할 경우, 그 중단(中段) 어미(魚尾) 부분의 아래위[上下]부터 중봉(中縫) 부분에서 인쇄 면의 상하 양쪽 끝까지 검은 묵선(墨線)이 그어진 것이다. 흑구에는 특별한 기준은 없으나, 육안으로 보아 검은 선이 아주 굵은 것은 ‘대흑구(大黑口)’라 하고, 가늘고 세밀한 것은 ‘소흑구(小黑口)’ 또는 ‘세흑구(細黑口)’라고 한다.

키워드
목차
정의
판심의 아래위로 어미부터 인쇄 면의 양쪽 끝까지 중봉 부분에 그어져 있는 검은 묵선.
내용

흑구(黑口)는 판심(版心)의 아래위로 어미(魚尾)부터 인쇄 면의 양쪽 끝까지 중봉(中縫) 부분에 그어져 있는 검은 묵선(墨線)이다. 판심의 위아래 어미(魚尾)와 광곽(匡郭)의 위아래 변(邊)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위의 것을 ‘상상비(上象鼻)’, 아래의 것을 ‘하상비(下象鼻)’라 부르며, 그 상하상비(上下象鼻)의 중봉 위치에 검은 선이 있는 것은 흑구, 없는 것은 백구(白口)라 한다. 판심은 대체로 그 세로 부분을 3단(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단(中段) 부분의 두 어미[上下 魚尾]를 기준으로 하였다. 즉, 고서(古書)에 있어 판심은 위와 같은 공백 부분의 중간 부분에는 상하의 어미를 배치하고, 다시 어미 부분의 아래 부분[下部]과 윗 부분[上部]에는 각각 흑구를 만듦으로써, 책의 인쇄면 중앙의 판심 부분을 장식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주1에서 흑구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전기에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와 한 쌍이 되어 빈번하게 나타난다. 또한 조선시대 중종(中宗) 이후, 선조(宣祖) 년간의 간인본(刊印本)에서는 내향삼엽화문어미(內向三葉花紋魚尾)와 짝을 이루어 나타나는 현상을 많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흑구도 특정 시대에 간행된 책의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의 요소로 볼 수 있기는 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전적에는 번각본(飜刻本)이 많아서 특히 그러하다. 다른 여러 형태적 특징을 아울러 고려하여 판단을 내려야 한다.

흑구의 형태 구분에는 특별한 기준은 없으나, 육안으로 보아 검은 선이 아주 굵은 것은 ‘대흑구(大黑口)’ 또는 ‘관흑구(寬黑口)’ 및 ‘조흑구(粗黑口)’라 칭하고, 가늘고 세밀한 것은 ‘소흑구(小黑口)’ 또는 ‘세흑구(細黑口)’ 및 ‘선흑구(線黑口)’라고 지칭한다.

흑구의 문제는 판심 및 어미 사항 등과 함께 조명되어야 하고, 아울러 우리나라 고서 판식(板式)의 전체 형태 사항 속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서지학개론』(한울아카데미, 2004)
최정태 외, 『기록관리학 사전』(한울아카데미, 2005)
천혜봉, 『한국서지학』(민음사, 2006)
주석
주1

일정한 목적, 내용, 체재에 맞추어 사상, 감정, 지식 따위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적거나 인쇄하여 묶어 놓은 것.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수(청주대학교 명예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