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인(營主人)
조선시대 감영에 파견되어 각 군현의 연락업무를 맡았던 이속(吏屬). # 내용
영저리(營邸吏)이라고도 하였다. 수령의 예하에서 지방행정의 실무를 맡았던 향리들은 그 내부의 계층이 엄격하여, 호장(戶長)·이방(吏房)·형방(刑房) 등 3공형(三公兄)은 상단리(上壇吏)로서 그 밖의 향리와는 크게 구별되었다.
즉, 사령 등 하단리(下壇吏)는 아무리 오래 근속하여도 상단리로 승진할 수 없었으며, 결혼도 동류(同類)의 문중끼리만 하였고, 경저리(京邸吏)나 영저리도 이들 상단리, 주로 호장에서 택차(擇差 : 인재를 골라서 뽑음)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