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철(分綴)
모든 자음이 어휘형태소의 말음으로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받침으로는 ㄱ, ᄠᅳᆷ,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자만 허용한 ≪훈민정음≫(해례)의 규정과 ≪용비어천가≫의 ‘기픈 남ᄀᆞᆫ ᄇᆞᄅᆞ매, ᄉᆡ미 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그츨ᄊᆞ 내히 이러 바ᄅᆞ래’(제2장) 등 문헌의 용례에서 확인된다. 다만, ≪월인천강지곡≫에서 ‘눈에, 몸이, 일을, 알아, 담아’ 등 분철이 나타나나, 그것도 ㄴ, ㅁ, ㄹ의 유성자음인 경우에 한정되어 있었다. 문헌상으로 분철이 크게 등장하는 것은 16세기부터이다. 16세기초부터 중철과 함께 분철이 나타나다가, 그 후반의 문헌에서는 분철이 중철이나 연철보다 우세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한 형태소 안에서의 자음까지 받침으로 표기한 “먹임이 아니면 ᄌᆞᆯ아디 몯ᄒᆞ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