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곡계찰방유집(鳳谷桂察訪遺集)
권1∼8은 경설(經說) 98편, 권9는 부(賦) 2편, 시 45수, 권10은 윤대(輪對) 1편, 서(書) 2편, 공사(供辭) 1편, 계사(啓辭) 1편, 권11·12는 잡저 35편, 부록 9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설의 「독역요결(讀易要訣)」은 『주역』에 대한 여러 문제를 요목(要目)으로 나누어 3권에 걸쳐 설명하고, 이어 『서경』·『시경』·『논어』·『중용』 및 『산해경본의(山海經本義)』·『이아편목(爾雅篇目)』 등에 대해 그 요점을 뽑아 부연 설명한 것이다. 잡저의 제문에는 심하역(深河役)에 순절한 우리 군사에 대한 「제심하순절문(祭深河殉節文)」 등이 있고, 이어 잡록으로 「문장(文章)」·「철언제투(綴言諸套)」·「습과법(習科法)」·「필법(筆法)」 등에서는 작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주역』을 뿌리, 『중용』을 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