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성(古利城)
임진강연변 및 한강 이북 지역에 한정하는 견해와 임진강에서 한강 하류와 남한강유역에 걸쳐 있다고 보는 견해, 경기도 및 충남 일대로까지 확대하여 그 위치를 비정하는 견해로 나뉘고 있다. 고리성의 위치비정도 견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현재까지는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 『삼국사기(三國史記)』 -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이병도, 박영사, 1976) - 「영락(永樂) 6년(年)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남정(南征)과 국원성(國原城)」(이도학, 『손보기박사정년기념논총(孫寶基博士停年紀念論叢)』, 1988) - 「한성시대(漢城時代) 백제(百濟)의 지방통치체제(地方統治體制)」(노중국, 『변태섭박사화갑기념한국사논총(邊太燮博士華甲紀念韓國史論叢』,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