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도 방언(平安道 方言)
평안도는 낭림산맥을 경계로 함경도와 접해 있어 평안도방언과 함경도방언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낭림산맥이 시작되는 압록강 유역의 평안북도 후창과 산맥의 남쪽에 위치한 평안남도 양덕 등은 함경도방언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다. 반면, 평안남도와 인접해 있는 멸악산맥 이북의 황해도 북부 지역은 평안도방언의 성격을 많이 지니고 있다. 모음은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의 8모음체계에서 후설모음 ‘ㅡ’는 ‘ㅜ’에, ‘ㅓ’는 ‘ㅗ’에 각각 합류하고 있다. ‘외’는 ‘ㅙ’로, ‘위’는 [wi]로, ‘의’는 [i] 또는 [ɨ]로 발음된다. 예: 우리우리하다(으리으리하다), 오마니(어머니), 돼다(되다), 이사(의사). 중부방언의 ‘ㅈ’은 경구개음으로 조음되지만 이 방언에서는 치조음 또는 치음으로 조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