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로(鴨盧)
이 압로의 성격에 대해서는, 성(城)의 뜻으로 보는 설, 동부여 각지역을 대표하는 귀족과 같은 존재로서 가(加)나 간(干)과 같은 의미를 지닌 칭호로 보는 설, 이동 가능한 취락을 칭하는 설, 5압로를 5부(部)와 같은 성격으로 보는 설 등이 있다.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압로의 의미는 개인보다는 집단의 뜻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 「광개토왕비문(廣開土王碑文)」 - 『광개토왕릉비』(박시형, 1966) -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노태돈, 『역주한국고대금석문(譯註韓國古代金石文)』1,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 1992) - 「광개토왕(廣開土王)의 웅략(雄略)」(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