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음충돌(母音衝突)
① 두 모음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 : 아우·아이·아욱·아악(雅樂)·어업·가을·나이·다음·마음 등. ② 두 모음이 중간 위치의 다른 한 모음으로 변하는 경우 : 거웃(수염)>곳, 가히[犬]>가이>개 등. ③ 두 모음 가운데 하나를 탈락시키는 경우 : 사오나온>사나온, ᄒᆞ올로>홀로, 쓰+어→써, 크+어→커 등. ④ 두 모음 사이에 다른 자음을 끼우는 경우 : ᄒᆞ+아→ᄒᆞ+y+아→ᄒᆞ야, 비+에→비+y+에→비예[雨], 죠ᄒᆡ>죠희>죠히>조이>조+ŋ+이>종이, 나ᅀᅵ>나이>나+ŋ+이>낭이>냉이 등. ⑤ 두 모음 가운데 하나가 ‘이’일 때, 나머지 한 모음과 어울려 중모음이 되는 경우 : 나[吾]+이(主格)→내[naj](>[n○]), 너[汝]+이(主格)→네[nəj](>[ne]), 티[打]+어→텨[tjə](>[chC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