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춤
탈춤으로는 해서지역의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북청사자놀음, 경기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영남지역의 수영야류, 동래야류, 진주오광대, 고성오광대, 가산오광대, 통영오광대, 하회별신굿 등이 전승되고 있으며, 특히 고성오광대놀이의 ‘덧배기춤’, 밀양백중놀이의 ‘범부춤’ 그리고 ‘동래학춤’ 등은 현대에 와서 재조명되고 있는 춤이다. 풍물패의 연희 중에서는 강릉농악, 평택농악, 진주삼천포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고창농악 등이 있으며, ‘부포춤’, ’설장고춤‘, ’북춤‘, ’진도북춤‘, ’소고춤‘, ’채상소고춤‘, ’고깔소고춤‘ 등이 대표적이다. 오늘날 이 춤들의 무대화가 두드러지는데, 그 이유는 이미 농악의 개인놀이인 구정놀이에 일인 독무(獨舞) 내지 독주(獨奏)로 각 춤들이 구성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