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허전 ()

목차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내용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가 지은 가전체소설(假傳體小說). ≪청장관전서 靑莊館全書≫ 중 ≪영처문고 嬰處文稿≫에 실려 있다. <관자허전>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관씨(管氏)의 본성은 죽씨(竹氏 : 대나무)이다. 그의 선조가 황제에게 발탁되어 황종의 음률을 만들게 되었다. 후손 고죽군(孤竹君)이 자허(子虛)를 낳았다. 그는 속이 비고 외모는 고결하였다. 마침 황제가 인재를 구하는 명을 내리자 생성옹(生成翁)은 자허를 천거한다. 이에 황제는 상림원(上林苑)에서 그를 빈(賓)으로 맞았다.

그러나 자허는 오히려 인사도 없이 뻣뻣하고 거만하였다. 황제는 그의 오만한 절개를 높이 사서 “가슴속 서 말이나 되는 가시를 없앨 만하다.”고 칭찬하였다.

자허는 그 뒤에 아들 여덟과 딸 하나를 두었다. 곧 붓(筆 필)·화살(箭 전)·퉁소(簫 소)·제기(籩 변)·죽간(簡 간)·낚싯대(竿 간)·지팡이(笻 공)·발(簾 렴) 그리고 기춘현부인(鄿春縣夫人)이다. 관자허는 그 뒤 60세에 두심병(蠹心病)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 후손들은 대대로 위천에 봉해져서 뭇사람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관자허전>은 고죽군의 아들 자허가 생성옹에 의해 황제에게 천거되어 크게 쓰임을 받고 자손들이 번창하였다는 것으로서 대나무를 의인화한 가전체작품이다.

황제의 조서에는, 화왕(花王 : 모란)과 초제(草帝 : 파초)를 물리치고 꿈에 동군(東君)이 보낸 한 신하의 형상을 문여가(文與可 : 宋代의 書畫家)에게 명하여 화상으로 그려 전국에 구하다가 얻은 인물이 관자허라 하였다.

관자허는 속이 비고 밖은 꿋꿋하여 고인의 풍도와 군자의 절개가 있다고 추천되었다. 그의 여덟 아들은 모두 죽구(竹具)들이며 외딸은 부채를 형상화하였다.

<관자허전>의 결말에는 ≪사기 史記≫의 필법을 빈 찬(贊)이 붙어 있다. 대나무의 절개를 의인화한 최식(崔寔)의 <죽존자전 竹尊者傳>, 이곡(李穀)의 <죽부인전 竹夫人傳>, 정수강(丁壽崗)의 <포절군전 抱節君傳>등과 더불어 창작기교가 뛰어난 작품이다.

참고문헌

「관자허전의 가전적성격」(소재영, 『어문논집』 23, 고려대학교국문학연구회, 1982)
집필자
소재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