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우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인물
조선후기 을사추조적발사건과 관련된 천주교인.
이칭
이칭
토마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786년(정조 10)
출생지
미상
관련 사건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을사추조적발사건과 관련된 천주교인.
내용

세례명은 토마스. 역관(譯官)의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학문을 좋아하여 이벽(李檗)과 친하게 지냈고, 그런 인연에서 이벽이 1784년 처음으로 천주교를 설교할 때 그의 권고로 천주교에 입교하였으며, 이승훈(李承薰)으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입교 후 천주교신앙의 열렬한 전파자가 되어 두 동생, 즉 이우(履禹)와 현우(顯禹)를 입교시켰다.

중인과 양반은 물론 같은 역관 집안에서 여러 사람을 개종시켰다. 또한 장례원(掌禮院) 앞 그의 집에서 천주교 집회를 자주 가졌다. 이승훈과 정약전(丁若銓)·약종(若鍾)·약용(若鏞) 삼형제 및 권일신(權日身) 부자 등 양반과 중인 수십 명이 모여 이벽의 설교를 듣고 있을 때, 마침 그곳을 지나던 형조의 관리가 도박으로 의심하고 수색한 끝에 예수 화상(畵像)과 천주교 서적들을 압수하여 형조에 바치게 되었다.

형조판서 김화진(金華鎭)은 사대부 자제들은 알아듣게 타일러 돌려보내고 김범우와 최인길(崔仁吉)만을 가두었다. 이것이 1785년 봄에 일어난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이었다. 이에 권일신은 그의 아들과 이윤하(李潤夏)·이총억(李寵億)·정섭(鄭涉) 등 5인을 거느리고 형조로 들어가 김범우와 같은 교인이라고 하며 성상(聖像)의 반환을 요구하였다.

형조판서는 그들이 사대부의 자제이므로 그들을 타일러 돌려보내는 데 그쳤고, 김범우만은 천주교 신봉 여부를 다짐하는 판서의 심문에 “서학(西學)에는 좋은 곳이 많고 그른 곳을 모른다.”고 대답하여 마침내 밀양으로 유배되었다.

그리고 그가 소장했던 책자를 모두 형조의 뜰에서 불사르고 서학을 금하는 효유문을 전국에 돌렸는데, 이것은 천주교를 공공연하게 공격하고 금한 최초의 공문서가 되었다. 한편, 유배된 뒤에도 계속 천주교를 신봉하면서 큰소리로 기도하고 전도하였으나, 장형(杖刑)을 당한 상처의 악화로 유배된 지 1년 만에 죽었다.

참고문헌

『한국천주교회사』(Dallet, C. C. 원저, 안응렬·최석우 역주, 분도출판사, 1979)
『사학징의(邪學懲義)』(한국교회사연구소 편, 불함문화사, 1977)
『벽위편(闢衛編)』 上(이만채 편, 벽위사, 1931)
집필자
최석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