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후 (𨩿)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부수찬 겸 금위영종사,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수민(秀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5년(영조 41)
사망 연도
1821년(순조 21)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대사간
정의
조선 후기에, 부수찬 겸 금위영종사,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수민(秀民). 김상백(金相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형(金炯)이고,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郎) 김재혁(金載奕)이며, 어머니는 윤밀(尹峚)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98년(정조 22) 진사가 되고, 1800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에 등용된 뒤 전적을 거쳐, 1803년 지평으로 있을 때 영의정 이병모(李丙模)를 몰염치한 자라 비난하였고 이에 홍문관수찬 이동환(李東煥)도 동조하자, 당시 수렴청정을 하고 있던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하여 남해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병모가 석방시킬 것을 청하였으므로 1805년 방환되었다. 1809년 부수찬 겸 금위영종사로 복직되었으나, 1811년 당시의 비정을 직간했다가 군위현(軍威縣)에 유배되었으며, 그 뒤 관직이 대사간에까지 이르렀다.

천품이 영특하고 기개가 있었으며 문장에 능하였다. 정사에 임하여서는 정성을 다하였다. 안동 사람들은 새로 수령을 맞이할 때는 김후같은 인물을 얻기를 바랐다고 한다.

참고문헌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매산집(梅山集)』
집필자
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