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둔도 사건 ( )

조선시대사
사건
1587년(선조 20)에, 조선과 여진족이 녹둔도에서 별였던 전투.
사건/사회운동
발생 시기
1587년(선조 20)
종결 시기
1587년(선조 20)
발생 장소
녹둔도
관련 인물
이순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녹둔도 사건은 1587년(선조 20)에 조선과 여진족이 녹둔도에서 별였던 전투이다. 녹둔도는 세종의 6진 개척 이후 조선의 영토에 편입된 지역으로, 선조 대에 둔전을 개간하여 경작하는 과정에서 두만강 일대에 살던 여진족의 한 부족인 올적합(兀狄哈)이 인근의 여진족과 연합하여 대대적인 침략을 단행하였다. 이곳을 지키던 조산보만호(造山堡萬戶) 이순신은 전투 초반에는 공격을 허용하였으나, 후반에는 마침내 여진족을 격퇴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녹둔도의 둔전 경영은 취소되고, 이순신은 한때 백의종군하게 되었다.

정의
1587년(선조 20)에, 조선과 여진족이 녹둔도에서 별였던 전투.
발단

녹둔도(鹿屯島)두만강 이북 여진족들의 침입을 예측할 수 있는 군사 전초 기지이자 둔전(屯田)을 통해 상당한 군량을 확보할 수 있는 병참 기지로서 조선 전기부터 매우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세종의 6진 개척 이후 조선의 영토에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녹둔도는 들판이 100여 리가 될 정도로 넓었으며, 전답역시 기름졌다. 성종 대에는 봄이 되면 조산의 군사와 백성이 녹둔도에 들어가 농사짓고, 수확을 하고 난 후 조산보(造山堡)로 다시 돌아와 방수(防守)하였다. 해마다 풍년이 들어 변경 지역 군사들의 식량이 넉넉했다고 한다.

조산보에서 녹둔도로 나가려면 반드시 배를 타야만 했는데, 매우 고생스러워 백성이 차라리 녹둔도에 거주하면서 방수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조정은 여진족의 변란에 대비하기에 한계가 있어서 이러한 요구를 쉽게 받아들일 수 없었다. 성종 대와 중종 대에는 녹둔도에서의 경작과 방어에 대한 허락과 금지가 여러 차례 반복되었다. 그리고 명종 대에 이응거도(伊應巨島)의 분쟁으로 인해 경작이 중단된 녹둔도를 선조 대에 들어 둔전을 재개하는 과정에서 이 지역에 있었던 여진 번호(藩胡)를 축출하였다. 이에 이들은 조선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되었으며, 인근의 여진들과 연합하여 녹둔도에 대대적인 침략을 감행하였다.

경과 및 결과

1583년(선조 16) 군량미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함경도관찰사 정언신(鄭彦信)가 녹둔도에 처음으로 둔전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1586년(선조 19)에는 선전관 김경눌(金景訥)이 녹둔도둔전관(鹿屯島屯田官)으로 왔는데, 그는 녹둔도 가운데에 목책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남도의 군역에서 빠진 군병을 농부로 예속시켜 개간하고 씨를 뿌리며 작물을 심게 했다.

1587년(선조 20)에는 조산보만호(造山堡萬戶) 이순신(李舜臣)이 녹둔도의 둔전을 담당하였다. 같은 해 9월 24일 부사 이경록(李景祿)이 일꾼인 연호군(煙戶軍)을 데려다가 수확하려고 할 때, 올적합이 녹둔도를 침범하여 사람들을 잡아가고 가축들을 약탈해 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조산보만호 이순신을 비롯한 조선군은 전투 초반에 여진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전투가 발생하기 전에 진영 주변에 참호와 목책 등의 장애물이 이미 구축되어 있었고, 전투 중에는 이순신이 이를 활용하여 적절한 궁시 사격 위치를 선정한 덕분에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 냈다. 또한 여진의 번호들은 수적으로 우세하였으나 진영 밖에 있었던 조선군의 군사 행동으로 인해 군사력을 집중시키지 못하였고, 더욱이 공격을 주도한 추도의 마니응개(亇尼應介)가 사살됨으로써 여진족은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의의 및 평가

조선군은 비록 군사력의 열세로 상당한 수의 백성들이 여진의 포로로 잡혀가는 것을 막을 수 없었지만, 수적으로 우세한 여진의 공격을 격퇴함으로써 녹둔도를 지켜 낼 수 있었다. 참혹한 소식을 접한 선조는 매우 원통해 하였으며, 특히 그들에게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포로들을 찾아오라고 명하였다. 이 사건으로 녹둔도의 둔전 경영은 취소되고, 당시 조산보만호 이순신은 백의종군하게 되었다. 이후 선조는 북변사(北邊使) 이일(李鎰)에게 명하여 녹둔도를 침략한 시전(時錢) 부락을 정벌하도록 했으며, 1588년(선조 21) 1월 14일 이일이 지휘하는 조선군은 여진에 대한 대대적인 응징을 단행하여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이때 백의종군했던 이순신도 크게 공을 세워 백의종군에서 풀려날 수 있었다.

참고문헌

원전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중종실록(中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논문

김경태, 「이순신의 북방 지역 활동에 대한 사료적 고찰」(『역사와 담론』 90, 호서사학회, 2019)
김진수, 「선조대(1587년) 녹둔도 전투에 대한 고찰」(『군사연구』 140, 육군군사연구소, 2015)
이왕무, 「조선시대 녹둔도의 역사와 영역 변화」(『한국학』 3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李源明, 「조선중기 鹿屯島 확보와 北兵使 李鎰에 관한 일고찰」(『백산학보』 83, 백산학회, 2009)
장정수, 「선조대 對女眞 방어전략의 변화 과정과 의미」(『조선시대사학보』 67, 조선시대사학회, 2013)
제장명, 「조선시대 백의종군 사례와 이순신의 백의종군」(『이순신연구논총』 15,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한성주, 「임진왜란 전후 女眞 藩胡의 朝鮮 침구 양상과 조선의 대응 분석」(『동양사학연구』 132, 동양사학회, 2015)

인터넷 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http://waks.aks.ac.kr/site/encysillok)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