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신편 ()

농정신편 / 광인사
농정신편 / 광인사
근대사
문헌
1885년 안종수가 서양의 근대 농법을 토대로 저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정의
1885년 안종수가 서양의 근대 농법을 토대로 저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개설

4권 4책.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서이다.

편찬/발간 경위

저자 안종수는 1881년 신사유람단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의 대표적인 농학자 쓰다(津田仙)를 통해 네덜란드 농학자 호이브렌크(Hooibrenk,D.)의 재배법을 접하였으며, 쓰다의 『농업삼사(農業三事)』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여러 가지 농업 관계 서적을 가지고 돌아와서, 5개월간 각국의 근대 농업에 관한 연구에 몰두한 끝에 1881년 12월『농정신편』의 원고를 완성하였다. 그런데 간행은 곧바로 이뤄지지 못하고, 1885년 갑신정변 이후 통리교섭통상아문주사로 근무할 때 이뤄졌다.

서지적 사항

광인사(廣印社)에서 발행된 초판본에는 20여 면의 목판 삽화가 수록되어 있었으나, 재판본에서는 삽화가 빠져 있다. 책이 간행되자, 정부는 앞장서서 널리 유포하게 하여 농업 개량에 참고하도록 하였다. 1905년 박문사(博文社)에서는 4권 1책으로 된 재판본을 냈고, 조선총독부에 의해 1931년 한글로 번역된 단권 『농정신편』이 간행되어 농촌 사회에 보급되었다.

장서각 도서에 소장중이다.

내용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농업 기술서로 과거의 농서와는 판이한 체계와 내용을 수록하였다. 특히 근대 과학을 토대로 한 식물학 또는 농화학적 지식을 원용한 농법을 소개하고 있다.

초판본의 구성을 보면, 권 1은 토성변(土性辨)과 배양법의 두 항으로 되어 있다. 토성변은 양토(壤土)·치토(埴土)·분토(墳土)·도토(塗土)·노토(壚土)·광척(廣斥)으로 구분하여 각종 토양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토지성질론·토지해석법·초목성질·식물생리·배수술(排水術) 등의 항목을 두어 토지이용에 관한 설명을 싣고 있다. 배양법은 배양발단(培養發端)·배양중경(培養中耕)·경작사업(耕作事業)·토지휴한법(土地休閒法)·경작교대법(耕作交代法) 등의 문제를 논하였다.

권 2는 분저법(糞苴法)과 분배법(糞培法)의 두 항목으로, 각종 비료의 제조법과 효능을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취급된 비료의 종류는 인분을 비롯한 가축분, 식물성 비료, 동물성 비료와 유기물비료 등 40종에 이른다. 권 3·4는 육부경종(六部耕種)이라는 항목으로, 각종 식물의 뿌리·줄기·껍질·잎·꽃·열매 등의 생태와 그 식물의 재배법을 설명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책의 내용은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매우 새롭고 신기한 사실을 담은 것이었다. 그러나 저자 자신이 직접 경험했거나 실험을 통해 얻어낸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다소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전통적 재래 농법에 큰 자극을 주었을 뿐 아니라 서양의 근대 농법을 소개한 농업 기술서로 주목할 만하다.

참고문헌

『일성록(日省錄)』
『고종실록(高宗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매천야록(梅泉野錄)』
「안종수(安宗洙)와 농정신편(農政新編)」(이광린, 『한국개화사연구(韓國開化史硏究)』, 일조각, 1969)
집필자
이원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