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수 ()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말 조선시대에,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을 위해 문신인 유장을 임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도원수는 고려 말 조선시대에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등에서 유장을 임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 관직이다. 2품 이상의 문신을 임명하여 파견하였으며, 명칭은 서북면도원수, 평안도도원수, 서정도원수, 북정도원수, 사도도원수, 경상도도원수, 팔도도원수, 한남도원수, 서로도원수, 제도도원수 등으로 관할 영역과 역할에 따라 다양했다. 무신을 부원수로 임명한 것과는 달리 유장을 도원수로 임명한 것은 문치주의 사회였던 조선 왕조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정의
고려 말 조선시대에,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을 위해 문신인 유장을 임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 관직.
설치 목적

도원수는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 등과 같이 전시, 또는 그에 준하는 상황에서 관하 군대를 영솔하기 위해 2품 이상의 문신이 임명 · 파견되었던 임시 관직이다.

임무와 직능

도원수는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 등이 이루어질 때 관하 군대를 총 지휘하는 역할을 맡았다. 토벌할 때에 부원수는 선봉(先鋒)으로 전투를 지휘하였고, 도원수는 계략이 있는 사람으로 뒤에서 막으며 호령(號令)을 맡았다. 따라서 부원수(副元帥)는 반드시 무신(武臣)으로 임명해야 되지만, 도원수(都元帥)는 문약하여도 할 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대개 해당 지역 실정을 잘 알고 있는 유장(儒將)을 도원수로 임명하였다. 도원수는 군대를 총 지휘하면서 해당 지역의 모든 수령과 변장들도 그의 지시에 복종하게 함으로써 방면 사령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변천 사항

고려 후기에 원나라 세조가 일본을 원정할 때, 고려의 중찬(中贊) 김방경(金方慶)(무신)을 관고려군도원수(管高麗軍都元帥)로 삼아 원나라의 원수(元帥) 흔독(欣篤) · 다구(茶丘) 등을 따라 출정(出征)한 일이 있었다. 고려 말에는 1359년(공민왕 8) 홍건적(紅巾賊)의 침략에 대비하여 수문하시중 이암(李巖)(문신)을 서북면도원수(西北面都元帥)로 삼았다가 평장사(平章事) 이승경(李承慶)으로 교체하였다. 1380년(우왕 6)에는 왜구의 침략으로 벌어진 진포 전투에 심덕부(문신)가 도원수, 나세상원수, 최무선이 부원수, 이성계가 병마도원수로 참전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1479년(성종 10)에 명(明)나라에서 조선의 힘을 빌려 건주 위야인(建州衛野人)을 정벌할 때에 좌의정 윤필상(尹弼商)을 도원수(都元帥)로 삼아 명나라를 도왔는데, 이를 ‘평안도도원수(平安道都元帥)’ 또는 '서정도원수(西征都元帥)'라고 불렀다. 1491년(성종 22)에는 허종이극균(李克均)을 동시에 도원수에 임명하여, 각각 '북정도원수(北征都元帥)', '서북면도원수(西北面都元帥)'라고 일컬었다. 이후 1499년(연산군 5)의 서정도원수(西征都元帥) 성준(成俊)의 사례가 있고, 1510년(중종 5)에는 삼포왜란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면서 처음에는 성희안을 총지휘관으로 임명했다가, 다시 유순정(柳順汀)으로 교체하였는데 이때 유순정의 직함은 '좌의정겸경상도도원수(兼慶尙道都元帥)'였다. 1543년(중종 38)에는 명나라의 청병 요청과 서변(西邊) 정토(征討)를 대비하여 이기(李芑)를 도원수로 임명했던 사례도 있다.

1592년(선조 25)에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원수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처음에는 김명원(金命元)을 도원수에 임명했다가, 다음 해(1593)부터 1599년(선조 32)까지 권율(權慄)이 도원수가 되어 진두지휘하였다. 이후에는 1600년(선조 33)에 이항복(李恒福)이 좌의정으로 사도체찰사겸도원수(四道體察使兼都元帥)가 되었으며, 1605년(선조 38)에는 한준겸(韓浚謙)이 겸사도도원수(兼四道都元帥)가 되었다. 1618년(광해 10)에는 명나라의 요청으로 당시 만주 일대에서 흥기하고 있던 후금을 정벌하기 위해 출동하면서 의정부좌참찬 강홍립(姜弘立)을 도원수로 삼았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장만(張晩)을 도원수에 임명하여 원수부를 평양에 두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그러나 이괄의 난이 발발하자 원수(元帥) 장만이 적의 후미에 있으므로 한수(漢水) 이남은 호령이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병조참판 심기원(沈器遠)을 한남도원수(漢南都元帥)로 삼았다.

1631년(인조 9)에는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여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던 병조판서 김시양(金時讓)을 의정부의 의논에 따라 팔도도원수(八道都元帥)로 삼았다가, 이후 4도체찰사로 전임시켰고 다시 1633년(인조 11)에는 4도도원수로 전임시켰다. 한편 1633년(인조 11)에는 김자점(金自點)을 서로도원수(西路都元帥)로 삼았으며, 병자호란 발발로 전쟁 중에는 김자점을 서로도원수로, 심기원(沈器遠)을 제도도원수(諸道都元帥)로, 윤숙(尹璛)을 부원수로 삼았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도원수 제도가 더 이상 운영되지 않았다.

의의 및 평가

도원수 제도는 고려 말부터 병자호란 시기까지 운영되었다. 무신을 부원수로 임명한 것과는 달리 문신의 유장을 도원수로 임명하였는데, 이는 문신이 군사 통솔권을 장악하고 있던 문치주의 사회 조선 왕조의 특성을 반영된 결과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일기)』
『서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단행본

차문섭, 『조선시대 군사관계 연구』(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논문

이장희, 「도원수 권율론」(『근세조선사논고』, 아세아문화사, 2000)
차문섭, 「朝鮮中期 倭亂期의 軍令·軍事指揮權 硏究一都體察使·都元帥를 중심으로一」(『한국사학』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