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석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병의 시 · 제문 · 잡저 ·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의병의 시 · 제문 · 잡저 ·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5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1928년에 간행할 목적으로 저자의 글을 모아 놓은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책1에 시 250여 수, 책2에 묘표 2편, 묘지 17편, 행장 8편, 책3에 제문 39편, 고축문 9편, 잡저 14편, 책4에 서(書) 71편, 책5에 유사 4편, 애사 1편, 기사(記事) 4편, 잡저 3편 등이 실려 있다.

시에는 이이(李珥)·조헌(趙憲)·성수침(成守琛)·김창협(金昌協)·임성주(任聖周) 등의 문집이나 저술을 읽고 느낀 점을 시로 읊은 것, 한거하면서 계절이나 자연의 변화를 보고 느낀 감회를 표현한 것과 구경대(龜景臺)·삼부연(三釜淵)·소양정·선죽교·만월대 등 명승지나 서원 등을 유람하며 지은 것이 있다. 그밖에 이신모(李莘模)·권구(權構)·정철(鄭澈) 등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과 박양신(朴良藎)·송시열(宋時烈)·이이 등 명현의 시를 화운(和韻)한 것도 있다.

잡저에는 자신을 수양하기 위한 방편으로 성현의 말 가운데 절실한 것을 발췌해 편찬한 「사사편서(事斯篇書)」에 붙인 글, 제례(祭禮)의 원칙과 시제(時祭)·천신(薦新) 등을 행할 때 지켜야 할 사항과 물품 등을 적어 놓은 「제례정식(祭禮定式)」, 유배지에서 죽은 아버지의 일에 대한 자신의 입장과 처세관을 문답 형식으로 밝힌 글 등이 있다.

서(書)는 친족에게 보낸 것이 많으며, 대부분 매우 간략한 것들로 예설에 관한 단편적인 내용이 실려 있다. 기사는 은거하면서 보고 들은, 성종대의 영의정 장순손(張順孫)의 후손인 감찰 장이량(張爾良), 청포전(靑布廛)의 상인, 과천에 산다는 효자 등의 이야기를 적어 놓은 것들이다.

제5책의 잡저에는 귀머거리와 장님의 대화 형식을 빌려 당시의 세상살이를 비유한 글인 「농고설(聾瞽說)」, 아버지가 지은 글을 모아 목록을 만든 뒤 붙인 발, 타인의 죄에 연루된 자로서의 자신의 처신에서 주의할 점을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지은 「자경(自警)」 등이 있다.

집필자
정선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