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손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판의금부사,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3년(단종 1)
사망 연도
1534년(중종 29)
본관
인동(仁同)
주요 관직
정언|홍문관응교|홍문관직제학|승정원우승지|전라도관찰사|이조참판|우참찬|호조판서|병조판서|판의금부사|우의정|영의정
관련 사건
갑자사화|기묘사화
정의
조선 전기에, 판의금부사, 우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사호(士浩) 또는 자활(子活). 성주(星州) 출신. 장순효(張純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경원(張敬源)이고, 아버지는 군수 장중지(張重智)이며, 어머니는 고승안(高承顔)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5년(성종 16) 별시 문과에 급제한 뒤 정언 · 회령 판관을 역임하고, 1496년(연산군 2) 홍문관에 들어와 부응교 · 응교를 지냈다.

1499년 사인(舍人)으로 춘추관 편수관을 겸해 『성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홍문관의 직제학 · 부제학, 승정원동부승지 · 좌부승지 · 우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오르고 곧 외직으로 전라도 관찰사에 나갔다.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먼 지방에 주1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나 경상도관찰사에 보임되었으며, 이듬해 한성부 좌윤이 되었다. 이어 대사헌정국공신(靖國功臣) 박영문(朴永文)의 불법을 탄핵하는 등 언론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듬해 주2 · 주3 · 우참찬을 거쳐 1509년(중종 4) 주4로서 경연 특진관을 겸해 폐지된 저화(楮貨) 재사용을 주장했고, 좌참찬으로 군량확보책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1515년부터 호조판서 · 주5를 역임하면서 노모의 연로함을 들어 계속 사직을 요청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사신(史臣)은 그의 주6주7로 공론이 비등하자, 거짓으로 사직을 요청했다고 비난하였다.

1518년 병조판서 역임 시 조광조(趙光祖)를 중심으로 하는 사림파현량과(賢良科) 실시에 반대했다가 이듬해 김안로(金安老)의 일파로서 사림을 축출하려 했다는 삼사의 탄핵으로 파면되었다.

기묘사화로 조광조 일파가 축출되자, 복직되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역임한 뒤 다시 이조판서 · 주8를 거쳐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이 때 나이 70으로 궤장(几杖)을 받기도 하였다. 이어 권신, 김안로가 정권을 장악하자, 그에 의해 우의정에 오르고, 좌의정을 거쳐 1533년 영의정에 올랐다가 이듬 해 죽었다.

사람됨이 용렬하였으며 김안로와 한편이 되어 재상이 되었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모두 비루하게 여겼다고 한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기문(大東奇聞)』
『전고대방(典故大方)』
주석
주1

벼슬아치에게 어느 곳을 지정하여 머물러 있게 하던 형벌. 우리말샘

주2

이조에 속한 종이품 벼슬. 이조 판서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둔, 형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호조에 속한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이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둔, 병조의 으뜸 벼슬. 품계는 정이품으로, 군사와 국방에 관한 일을 총괄하였다. 우리말샘

주6

욕심이 많고 하는 짓이 더러움. 우리말샘

주7

뇌물을 주고받음. 또는 그 뇌물. 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에 둔, 의금부의 으뜸 벼슬. 품계는 종일품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병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