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명찬 ()

목차
언어·문자
문헌
1890년에 물명을 종류별로 모아 수록한 유서(類書).
목차
정의
1890년에 물명을 종류별로 모아 수록한 유서(類書).
내용

1책. 필사본. 유모(柳某)가 지었다고 전한다. 『온각서록(蘊各書錄)』이라는 책의 앞 18장이 ‘물명찬’으로 되어 있다.

『물명고(物名考)』나 『물보(物譜)』와 유사한 것으로서 한자로 된 표제어 밑에 한글 또는 한자로 그 물명을 써놓았다. 그리고 간혹 그 출전이나 전거(典據)를 밝혀놓기도 하였다.

천류(天類)·인류(人類)·신류(身類)·의류(衣類)·잡어류(雜語類)·질병류(疾病類)·잡희류(雜戱類) 등 모두 39개의 부류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것은 『물명고』나 『물보』의 분류와는 전혀 다른 것이다.

약 1,270여개의 표제항으로 되어 있다. 전라북도 정읍시 우순면 초강리에서 지은 책으로 19세기 말의 고부(古阜)지역어(지금의 정읍지역어)를 반영하고 있어서 t구개음화는 물론 k구개음화를 보이며(질마 등) i모음의 역행동화도 보인다(올ᄋᆡ비, ○지개, 욍기다, 큰툇기 등).

그리고 많은 방언어휘를 보여 준다(정지살강 盌架, 부지당 火棍, 몰십죠ᄀᆡ 蜆, 낫거무 壁錢 등). 방언사(方言史)·어휘사(語彙史)·음운사(音韻史) 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 홍윤표(洪允杓)가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어어휘문헌자료(國語語彙文獻資料)에 대하여」(홍윤표, 『소당천시권박사화갑기념 국어학논집』, 1985)
「온각서록(蘊各書錄)과 정읍지역어(井邑地域語)」(전광현, 『국문학논집』11, 1983)
집필자
홍윤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